해외투자유치 성과·기관간 업무협약
외국인투자 최저 도시 오명 씻을까

[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대전의 오랜 숙원이던 ‘대전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이하 과학벨트 외국인투자지역)’이 지난해 지정·승인된 가운데 최근 사업이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과학벨트 외국인투자지역은 외국인투자 활성화 차원에서 저렴한 임대료로 부지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지사가 지정한 지역이다. 대전 지역의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승인을 위해 시는 장장 20년에 가까운 노력을 쏟았다.

지난 2007년 테크노밸리, 신동지구 내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을 추진했으나 2014년 무산된 바 있다. 이후 대전시와 과기정통부가 지난 2015년부터 과학벨트 외국인투자지역 유치를 추진해 왔고, 지난해 결실을 봤다. 대전시의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계획’이 지난해 9월 8일 산업통상자원부 외국인투자위원회 심의로 통과된 것.

앞으로 면적 8만 3566㎡(2만 5279평) 규모로 국비 231억 원과 시비 154억 원 등 총 385억 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은 교통, 인력, R&D 등 강점에도 외자유치 실적이 낮아 외국인투자기업 전용 입주공간이 필요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지난해 과학벨트 외국인투자지역은 기관 간 관리 방법에 대한 논의 등으로 당초 일정보다 계획이 늦어지기도 했으나, 지난해 협의가 마무리되며 잰걸음을 하고 있다. 올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외국인투자지역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체결과 상담회를 통해 총 1000만 달러 규모의 업무협약을 맺는 등 성과가 있었다.

대전시가 과학벨트 외국인투자지역에 거는 기대는 크다. 대전의 외자유치는 지난 2016년 0.28억 불, 2017년 0.12억 불, 2018년 0.08억 불, 지난해 0.33억 불에 그쳐 전국 최하위권을 맴돌았는데, 과학벨트 외국인투자지역 유치를 통해 변화의 바람을 기대하고 있다.

과학벨트 외국인투자지역을 통해 570억 원 이상의 외국인 직접투자와 향후 5년간 생산유발효과 2075억 원, 부가가치유발 749억 원, 고용효과 1300여명 등의 경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시를 비롯해 관련된 기관들 모두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거점지역 사업과 외국인투자 사업에 대해서 추구하는 목표가 같다”며 “기관간 협업해 최대한 신속히 기업이 입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