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대병원 신채원 교수, 시누클레인 단백질 침착 확인

[금강일보 서중권 기자]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위장관 조직을 통해 파킨슨병의 발병 예측과 조기 진단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세종충남대학교병원(원장 나용길)은 신경과 신채원 교수(뇌신경센터장)가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환자들의 위장관 조직에서 파킨슨병의 원인이 되는 시누클레인(alpha-synuclein) 단백질 침착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권위의 뇌신경과학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Psychiatry’ 최근호에 게재됐다.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는 수면 중 심한 잠꼬대나 과격하게 몸을 휘젓는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파킨슨병 발병 전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전조 증상이다.
파킨슨병은 거동이 느려지고 자세가 굽혀지며 손발에 떨림 증상이 생기는 신경퇴행성질환 중 하나이다.
신 교수는 연구를 통해 수면장애가 없는 건강한 일반인의 위장관에서는 아무런 병리 소견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환자들의 62.5%에서는 시누클레인 단백질 침착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파킨슨병의 발병 예측과 조기 진단 분야에서 향후 발전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신 교수는“파킨슨병은 발병 전에 렘수면행동장애가 의심되는 과도한 잠꼬대가 있으면 뇌신경센터에 방문해 적절한 진료를 받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
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