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대체 기관 이전 놓고 대전시 향한 비판의 목소리
기상청+3개 원 이전에 자화자찬 분위기 꼬집어
[금강일보 최일 기자] 정부대전청사에 자리한 중소벤처기업부의 오는 8월 세종 이전이 확정된 가운데, 중기부를 대체해 대전으로 옮겨올 기관들과 관련해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을 향한 곱지 않은 시선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국교 전 국회의원은 지난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역 방송의 한 대담 프로그램에 출연한 같은 당 황운하 의원(대전 중구)이 “중기부 세종 이전에 따른 대체 기관으로 거론되는 ‘에너지기술평가원’ 대전 이전의 효과를 말하며 자찬(自讚)을 한다”라는 글을 올렸다.
정 전 의원은 “2019년 9월 에너지기술평가원장이 대전시를 찾아 이전 의사를 밝히고 협조를 요청했지만 시장과 담당 국장은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지역 국회의원도 무관심했다고 들었다. 에너지기술평가원을 중기부에 필적하는 가치로 자찬하는 대전시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후안무치(厚顔無恥)하게 보이는 이유”라는 꼬집었다.
그러면서 “만일 그토록 가치 있는 기관의 대전 이전 제안을 소 닭 보듯 했다면 에너지기술평가원의 협조 제안을 뭉개고 직무를 유기하거나 해태(懈怠)한 대전시 공무원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당연하다”며 “또 다른 대체 기관인 기상청도 대전 동구로의 이전을 계획하고 부지를 찾고 있었다. 지역 정치인들이 구차한 견강부회(牽强附會)로 책임을 회피하거나 사실 호도로 무능을 가리려 하기 보다 시민들께 진솔하게 사과하고 최선을 다하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이은권 전 국회의원의 한 측근은 “지난해 1월 이 의원실에 에너지기술평가원 관계자들이 찾아와 ‘대전 중구로 1~2년 내 이전이 가능하다’며 대전으로 꼭 가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었다. R&D(연개개발) 평가 기관이고, 정부출연연구기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과 수시로 교류 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대전을 선호한 것이다.
그런데 대전시에서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면서 무산이 됐고,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있는 대구에서 적극적인 유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중기부와 현재 대전으로의 이전이 거론되는 기관들은 절대 등가(等價)가 성립이 안 된다. 대안도 못 된다. 오히려 대전 혁신도시 공공기관 유치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라고 우려했다.
국민의힘 대전시당 홍정민 수석대변인은 “떠나는 중기부를 대신해 대전에 이전하는 공공기관을 놓고 숫자놀음이 시작됐다. 정부·여당과 허태정 시장은 대전에 기상청과 3개 원(기상산업기술원·임업진흥원·에너지기술평가원)이 옮겨올 가능성이 높다고 했는데, 중기부와 산하기관(창업진흥원·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에 근무하는 인원이 1000여 명이고, 기상청과 3개 원 인원도 1000여 명인 것으로 알려져 언뜻 보기에 떠나는 인원과 들어오는 인원이 엇비슷하니 중기부의 빈자리를 충분히 대신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인식이 대전을 자꾸 어렵게 만든다. 근무 인원이 비슷하다고 대전에 미치는 시너지와 영향까지 비슷할 것이라고 판단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허 시장은 이 상황에 상당히 고무된 것 같다. 자신과 지역 정치권이 노력해 짧은 시간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것이라고 자평하기도 했다”며 “정부·여당이 제안한 기관들만으로 중기부를 대신할 수 없고, 중기부와 관련 기관들이 대전에서 그동안 구축해 온 인프라와 경쟁력은 근무자 수로만 가늠할 수 없다. 좀 더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해 대전 발전을 이끌 기관들을 받아내야 한다. 중기부와 몇몇 기관을 맞바꾸고 좋아할 것이었다면 이 싸움은 애초부터 지고 시작한 것이었다. 또다시 얼렁뚱땅 시민을 속이고 자화자찬으로 끝내려 하지 말라”고 질타했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