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공공형 택시 도입 추진, 정책토론회 열어

3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공공형 택시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시의회 제공
3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공공형 택시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시의회 제공

[금강일보 최일 기자] 대전시의회가 교통 소외지역을 위한 ‘공공형 택시’ 도입을 모색해 주목된다.

시의회는 3일 산업건설위원회 주관으로 ‘대전시 공공형 택시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대중교통 이용객이 줄어들면서 교통 소외지역에 대한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상황에 대비, 타 시·도에서 시행 중인 ‘100원 택시’, ‘마중택시’, ‘희망택시’, ‘행복택시’ 등의 공공형 택시를 대전에 도입하는 방안을 공유했다.

발제에 나선 대전세종연구원 이정범 지속가능연구실장은 “공공형 택시는 주민 모두에게 이동권을 보장하는 교통복지 측면의 개념”이라며 “기존 버스 운행 노선을 검토해 상대적으로 이동권이 소외되는 지역을 분석하고, 시범사업 지역을 선정해 향후 사업 확대에 따른 타당성 및 문제점을 검토해야 한다. 또한 사업의 지속성을 위해 재원 조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실장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대전에서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1㎞ 떨어진 가구는 총 134가구(동구 24·중구 1·서구 31·유성구 75·대덕구 3가구)로 동구 마산동, 서구 원정동, 유성구 덕진동 등에 분포하고 있다.

좌장을 맡은 오광영(더불어민주당·유성구2), 이종호(〃·동구2) 의원은 “최근 교통 소외지역 편의 증진과 재정 지원에 대한 니즈(Needs)가 커지고 있다.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대중교통 소외지역에는 버스보다는 택시를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공공형 택시 도입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김성태 대전택시운송사업조합 이사장, 김대환 대전개인택시조합 전무이사, 유인봉 대전지역버스노동조합 위원장, 이옥선 대전시 운송주차과장 등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