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흥보다 심하다” 靑 국민청원 이어져

[금강일보 최일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사태에 대한 국민적 공분이 세종시로 번지고 있다. 공직자 투기 조사 범위를 3기 신도시로 국한해선 안 되고, 세종시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세종시 투기 의혹에 관해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청원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투기장 세종시의 투기 공무원과 LH 직원을 전수조사하라’는 글을 올린 청원인 A 씨는 “세종시는 행정수도 일환으로 정부와 LH가 대대적으로 조성하는 계획도시인 동시에 부동산 투기 현장”이라며 “국회나 청와대가 세종시로 오는 것처럼 여당 원내대표가 뻥튀기 부동산 투기심리를 조장, 아파트 분양 당첨만 되면 로또가 아닐 수 없어 전국의 떴다방이나 청약자들이 몰리는 투기장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실제 내부 정보를 활용해 시의원이 가족 명의로 엄청난 부당이익을 챙겨 사퇴촉구운동이 대대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특별공급으로 받은 주택에서 살지도 않으면서 엄청난 매매차익을 챙기는 이들도 있다”며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정보를 활용해 부동산을 사서 미리 차익을 챙겼는지 LH 직원은 물론 공무원들의 투기행위에 대한 조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A 씨는 “정부에 강력히 요구한다. 로또지역인 세종시를 제쳐놓고 LH 직원의 투기 의혹을 조사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세종시 투기 공무원을 전수조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신을 ‘세종시민’이라고 밝힌 청원인 B 씨는 ‘세종시에도 LH 직원 땅 투기 정부 조사단을 파견해 달라’는 청원을 올려 “3기 신도기 투기 의혹을 조사 중인 정부합동조사단이 LH 본사에 대한 현장조사에 착수했다는 기사를 봤다. 경기 광명·시흥에서 LH 직원들이 벌인 기가 막힌 행태들을 보면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화가 난다”며 “광명·시흥에 비해 훨씬 규모가 큰 세종시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B 씨는 “세종시에는 상가 공급이 과다해 임대인·임대인 모두 많은 고통을 받고 있다. 장사가 안 돼 자살한 자영업자, 상가를 매입한 후 이자 부담 때문에 숨막히는 임대인들이 너무나 많다. 임차인을 구할 수 없어 비어있거나 폐업한 상가들로 가득하다”며 “이런 문제를 일으킨 원흉이 LH라는 시민들의 의견이 많다. LH는 원주민들로부터 평당 20만 원 안팎에 매입해 수십 배 혹은 수백 배로 파는 땅 장사를 했다. 상가 용지는 가격 상한선 없이 분양, LH는 엄청난 이득을 취했다. LH가 이러한 땅 장사로 시민들에게 고통을 줬고, 토지 수용과 공급에 있어 일부 기관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 등을 정부 조사단에서 규명해 달라”고 호소했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