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 1원전 사고로 발생한 다량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했다.
많은 나라들이 비판의 목소리를 냈음에도 일본은 오염수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되려 한국과 중국의 원전시설이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을 방출하고 있다며 적반하장의 반응을 보였다.
야소 다로 일본 부총리(재무장관)는 13일 오염수 방류 결정 이후 기자회견에서 "중국이나 한국이 바다에 방출하고 있는 것보다 농도가 낮기 때문에 마셔도 별 문제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나아가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관련 홍보 동영상에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트리튬) 캐리터를 만들어 "삼중수소는 건강에 해가 없다"면서 홍보를 하기도 했다.
국내외에 홍보하기 위해 삼중수소를 귀여운 캐릭터로 만들어 ‘유루카라’라는 이름을 붙여 홍보용 전단과 동영상에 등장시킨 것이다.
하지만 캐릭터 사용은 하루만에 중단됐다.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에 대한 경계심을 없애기 위해 귀여운 캐릭터를 이용한 것을 두고 “부적절하다” “경박하다” 등의 비판이 쇄도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부흥청 홈페이지를 통해 삼중수소 캐릭터 '유루카라'의 디자인을 수정하기로 했다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안전성을 홍보하기 위해 제작한 전단과 동영상의 공개를 일단 중단한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부흥청에서 공개한 동영상에는 삼중수소가 몸 안에 쌓이지 않고 배출되는 점 등을 강조하며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이미지를 전해 공개 이후의 심각성을 경시했다는 또다른 비판을 받은 적 있다.

현재 일본 정부는 내년 가을이 되면 더는 오염수를 저장할 공간이 없다고 보고 오염수의 방류를 더이상 미룰 수 없다고 판단했다.
지금까지 사고 원전에서 나온 오염수는 1050기 저장 탱크에 보관하는 데 지난달 중손 기준 약 125만t이 채워졌다. 이는 저장 가능 공간 137만t의 약 91%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삼중수소를 바닷물로 400~500배 희석해 일본 국가 기준치의 40분의 1, 세계보건기구(WHO) 식수 기준의 7분의 1까지 농도를 낮춰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방출 후에는 해양의 삼중수소 농도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해 투명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스즈키 카즈에 그린피스 일본사무소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일본 정부는 원전 부지와 주변 지역에 오염수를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에는 등을 돌렸다”며 “오염수를 장기간에 걸쳐 저장하고 처리하면서 방사능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최선의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 대신, 오염수를 태평양에 쏟아버린다는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방식을 선택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한편 우리 정부가 지난해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과학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낸 사실이 14일 뒤늦게 밝혀졌다. 정부 관계자도 이 같은 결론에 대해 “사실”이라고 인정해 논란이 예상된다.
정부는 당시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내에 보관 중인 오염수 처분 방안 결정을 완료하고 발표 시기 결정만 남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정부는 일본이 방출할 오염수가 우리 국민과 환경에 미칠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일곱 차례의 전문가 간담회를 진행한 결과 오염수를 정화하는 일본의 다핵종처리설비(ALPS) 성능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또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는 유엔방사능피해조사기구(UNSCEAR)의 방법을 사용해 일본 해안가 인근 지역의 방사선 영향을 평가한 결과 방사선 수치가 '타당하다'는 결론을 냈다.
우려가 큰 삼중수소 노출에 대한 영향도 “생체에 농축되기 어려우며 수산물 섭취 등으로 인한 유의미한 피폭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 오염수가 국내 해역에 들어올 가능성은 “해류에 따라 확산·희석돼 유의미한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 같은 정부 결론에도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아이보시 고이치(相星孝一) 주한 일본대사 신임장 제정식 직후 가진 환담에서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
정부 관계자는 “오염수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내용은 맞지만 국민 안전과 건강에 미치는 건이고 체내에 농축되는 문제는 검증이 안 된 상태”라며 “일본과 회의할 때도 그런 취지로 대응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