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에 함유된 트리튬이란?
오염수 바로 방류되나
국내 유입은 언제쯤
수산물 시장은 어떻게 되나

일본 정부가 13일 후쿠시마(福島) 제1 원전사고 이후 발생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하면서 세계 곳곳에서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바다로 방류된 오염수가 해류를 따라 퍼지면서 인접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은 오염수를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다. 핵물질 저장 장치인 ALPS를 사용해 삼중수소(트리튬)을 제외한 방사성 물질을 걸러냈다는 이유이다.

오염수는 일본 정부의 말대로 정말 안전한 걸까?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에 대지진 발생으로 후쿠시마 제 1원전이 폭발했다.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제1원전의 원자로를 식혀 주는 긴급 냉각장치가 지진으로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을 멈췄고, 1호기에서 수소폭발이 일어났다.

이후 3호기 수소폭발, 2호기 및 4호기 수소폭발과 폐연료봉 냉각보관 수조 화재 등으로 방사성물질을 포함한 기체가 대량으로 외부로 누출됐다. 

오염수는 이때 고장난 냉각장치를 대신해 격납용기 내 핵연료를 식히기 위해 뿌렸던 물이 방사성 물질을 머금고 쌓인 것을 지칭한다.

여기에는 삼중수소(트리튬)을 포함한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삼중수소는 대부분 물 분자 내 수소 원자 형태로 존재하고, 삼중수소가 들어간 물과 일반 물은 성질이 거의 똑같아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체내에 들어온 삼중수소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등 생체 구성 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반감기가 12.3년인 삼중수소가 체내에서 붕괴하며 방사선(베타선)을 방출하면 내부 피폭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DNA 등 유전자가 변형돼 암을 일으키거나 생식기능 저하 등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한편, 일부 오염수에는 코발트-60, 스트론튬-90 등 다른 방사성 물질도 남아있다. 이들은 반감기가 길고, 해저 퇴적물이나 어류 몸속에 잘 쌓여 사람과 환경에 잠재적으로 훨씬 위험하다.

일본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결정했다고 해서 당장 바다에 오염수를 버리는 것은 아니다. 오염수 방출 시설을 지어야 하고,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승인 등의 절차가 남아 있어 실제 방출은 2년 뒤가 될 전망이다.

일단 방류가 시작되면 일본 정부는 폐로(廢爐) 작업이 완료되는 2041~2051년까지 20~30년에 걸쳐 오염수를 꾸준히 바다로 내보낼 예정이다.

다만 오염수 배출 전에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을 이용해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고, 걸러지지 않는 삼중수소(트리튬)는 기준치의 40분의 1로 농도를 희석해 방출한다는 계획이다.

방사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오염수가 방류되면 국내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후쿠시마는 일본의 동쪽에 있어 방류된 오염수는 구로시오 해류를 따라 태평양으로 이동한다. 이후 미국과 적도를 거쳐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돌아 아시아로 되돌아온 뒤에 대마난류(아시아로 돌아왔을 때 동해와 서해로 갈라지는 해류)를 타고 제주도와 한반도로 유입된다.

오염수가 한국에는 200일 만에 제주도에 도달할 수 있다는 연구 보고서도 있다.

지난해 10월 독일 킬대학 헬름흘츠 해양연구소는 후쿠시마 오염수는 200일 만에 제주도에, 280일 이후엔 동해 앞바다에 도달한다는 시뮬레이션 연구결과를 내놨다. 일본의 후쿠시마 대학과 가나자와 대학도 유사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012년 독일 헬름홀츠해양연구소가 후쿠시마 사고 당시 배출된 세슘-137 확산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한국의 해역에 유의미한 농도의 세슘-137이 도달하기까지는 방출 뒤 약 5년이 지난 후가 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오염수가 국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정부와 연구기관에서도 아직 확실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객관적인 영향을 파악하려면 방출량과 농도 등의 정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분석을 해야 하는데 일본 정부가 정확한 정보를 내놓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가장 직접적인 수산물 안전에는 영향이 없을까?

일본 후쿠시마 어민들은 후쿠시마 어업에 "궤멸적인 피해가 올 것"이라며 방류를 반대하고 있다. 국내 어민들의 반대 역시 거세다.

현재 국내에서는 후쿠시마 인근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은 금지하고 있으나, 그 외 지역의 수산물은 방사능 검사 후 수입하고 있다.

이마트와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국내 대형마트는 이미 2011년 이후 일본산 수산물을 취급하지 않고 있다. 원전 사고 이전 갈치·생태·도미·꽁치·가리비 등 국내에서 소비가 많은 수산물 중 상당 부분이 일본산이었으나 현재는 모두 국산이나 수입 냉동상품으로 대체된 상태다. 

하지만 일본의 오염수 방류 결정으로 수산물에 대한 상품대체 및 안정성 확보가 더욱 치열해질 예정이다.

대형마트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불안 등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일본산 수산물을 판매할 가능성은 없다"며 "오히려 정부가 실시하는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와 별개로 자체적으로도 방사능 수치 검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대비해 올해부터 제주도 연안에 대한 방사성물질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좌민석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일본에서 오염수 해양 방류를 강행할 경우 자국 내 주변 바다가 방사능으로 오염돼 해양생물 체내 축적 및 폐사 등이 발생하고, 오염수가 해류를 따라 제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연안으로 유입되면 해양생태계와 수산업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