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화학공학과 김유천 교수팀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게재

[금강일보 김경락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천 교수와 한양대학교 생명공학과 윤채옥 교수 공동연구팀이 암 치료에 이용되는 면역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와 협력 효과를 내는 펩타이드 기반 면역원성 세포사멸 유도체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펩타이드는 암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붕괴시켜 활성산소 농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형성된 산화적 스트레스가 소포체를 자극해 면역원성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면역관문억제제는 T세포(CTLA-4, PD-1)나 암세포(PD-L1)에 발현된 면역세포의 활성을 저해하는 면역관문을 차단, 면역세포 작용을 활발하게 하는 치료제다. 이 치료제는 10~40% 정도의 환자에게만 효과가 있고 기존에 존재하는 항암 능력을 갖춘 T세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항암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면역원성 세포사멸 유도체와 면역관문억제제를 병용 투여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4월 7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김경락 인턴기자 kimkr5369@naver.com
김경락 기자
kimkr536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