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 도시청년 정착과 농촌 성장

적막한 농촌에 이렇게 많은 젊은이들이 발걸음을 내딛는 것이 얼마 만인가.
적막한 농촌에 이렇게 많은 젊은이들이 발걸음을 내딛는 것이 얼마 만인가.

[금강일보] 매스컴을 비롯한 우리 사회에서는 ‘지방소멸’이라는 표현을 아무렇지도 않게 쓰고 있다. 한 지역이 사라진다는 엄청난 현상을 표면적으로는 걱정해 주는듯 나름 이런저런 분석과 전망을 펼치지만 행간에는 더 자극적인 의미와 내용을 암시하면서 독자들의 눈길을 끌어 조회수를 올리려는 셈법이 엿보인다. ‘지방소멸’이라고 이름 붙이지만 과연 어느 정도까지 인구가 감소해야 ‘소멸’로 볼지 그리고 막상 주민숫자가 일정기준 아래로 내려간다는 가정 아래 그 이후 대처방안에 대해서도 건설적인 대안 제시 없이 거듭 ‘지방소멸’이라는 문구를 남발하고 있다.

대체로 인구 5만에서 3만∼4만 정도 군 단위 지자체에서 노인비중이 큰 지역이 해당되는데 일정 기준에 못 미치면 인접 군끼리 통합하여 규모의 경제를 구현하거나 다른 특단의 방안으로 소멸이라는 극한상황에 대처할 수도 있을텐데 긍정적인 대안제시에는 여전히 미온적이다.

경북 의성군이 이런 지방소멸 위험도 전국 최상위권으로 자주 언급된다. 1960년대만 해도 인구 20여만의 큰 고을이었고 법원지원과 검찰지청이 운영되고 마늘 특산지,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큰 관심을 모았던 컬링의 본고장이기도 하다. 삼한시대 부족국가였던 ‘조문국’이 이 지역에 있었고 인접한 안동시와 함께 우리나라 정신문화의 본향으로서 자부심 또한 높다.

노령인구의 증가라는 절박한 현실에서 의성군이 추진하는 ‘이웃사촌 청년시범마을’ 조성사업 같은 전향적인 대안추진은 지금까지 숱하게 반복된 지원금 지급을 통한 귀촌귀농 유도와 구분된다. 일자리, 주거확보, 생활여건과 복지시스템 구축 등 정주에 필요한 여러 요건을 함께 조성하고 지역에 뿌리내려 정착할 청년층을 영입하려는 노력은 실용적이고 전향적이다. 2019년 이후 의성군에 정착한 도시청년은 121명, 5만여 인구에 비해 미미한 비율일지 모르지만 대단히 의미 있는 통계로 활성화 가능성의 청신호로 읽힌다. 지역주민을 포함하여 인근 도시를 대상으로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익사업과 활동으로 노쇠해가는 적막한 농촌에 젊은이들의 건강한 웃음소리와 발걸음으로 ‘지방소멸’이라는 발상 자체가 소멸될 날을 내다본다.

<한남대 프랑스어문학전공 명예교수, 문학평론가>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