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일반용 전기 전체 전력소비량 77% 차지하는데
“현재 전기료만 1000만 원, 더 오르면 원가 감당 못해”
[금강일보 박정환 기자] 지역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은 벌써부터 걱정이 태산이다. 오는 4월 전기료가 오를 예정인 가운데 기업 전력인 산업용, 자영업자들이 사용하는 일반용 전기 가격이 더 오를 경우 원가 부담을 감당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한전은 1분기 전기요금 동결을 발표한 지 불과 일주일 뒤인 지난해 12월 27일 10.6%의 전기요금 인상을 기습적으로 결정한 바 있다. 인상안에 따르면 전기요금은 대선 후인 2분기에 ㎾h당 6원 90전, 4분기에 4원 90전으로 지속적으로 인상된다. 하지만 인상분의 대부분이 산업용과 일반용 전기에서 나온다는 점이 문제다. 발전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전의 총 전력판매량은 509.2TWh인데 이 중 주택용 판매량은 76.3TWh로 전체 판매량의 15%에 불과했다. 반면 산업용과 일반용 판매량은 각각 278.6TWh, 113.6TWh로 전체 소비량의 77%를 차지하는 규모다. 통상 산업용 전기는 기업이, 일반용 전기는 자영업자들이 주로 사용한다.
특히 전통 제조업 지출 중 전기요금은 15% 정도를 차지한다. 전기료 인상이 부담으로 다가오는 이유다. 발전업계에서는 이번 전기요금 인상을 시작으로 올 한해 동안 전기요금이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대전의 한 발전업계 관계자는 “탈원전 등으로 인해 전체 발전량이 줄어들고 발전 원자잿값도 계속 상승해 한전 등 에너지공기업들의 수익 하락이 심화되는 만큼 전기료가 오르면 올랐지 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지역 기업들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내수 침체와 원자잿값 상승이 지속되는 데다가 가장 기초적인 비용이라 할 수 있는 전기료마저 더 오른다면 원가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대전 대덕구 화학제품제조업체 대표 안 모(67) 씨는 “현재 한 달간 공장을 가동하는 데 지불하는 전기료는 아낀다고 아껴도 1000만 원 이상이다. 더욱이 인건비 상승과 주52시간제 시행과 겹쳐 전기료까지 상승한다면 경영이 소극적으로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매출이 더 떨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될 것 같다. 지난해 전기료를 동결해주는 듯하더니 갑자기 전기료를 올려버려 당황스럽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자영업자들도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끝나지 않는 거리두기에 도무지 매출이 나질 않는 상황 속 공공요금 부담이 더 커지는 셈이기 때문이다.
장수현 대전상권발전위원회장은 “현재 자영업자들은 겨우 숨만 쉬고 살고있는 처지다. 임대료 등이 매달 들어가고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미흡하다. 선심성 지원금 대신 공공요금 지원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