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충남 북부 휩쓸더니 올해는 논산까지
일부 지자체, 꽃가루 채취 자제 행정명령
농가 “수입산 구입 지원이라도 해달라” 분통

 과수화상병 대응 빅데이터 공동 분석 업무협약 체결하는 당진시 / 당진시 제공
 과수화상병 대응 빅데이터 공동 분석 업무협약 체결하는 당진시 / 당진시 제공

[금강일보 김미진 기자] 지난해 충남 북부권을 휩쓸었던 과수화상병이 논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그간 논산지역에서는 한 번도 발병한 적이 없었던 터라 충청권 농가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 지자체가 과수화상병 확산 방지를 이유로 배 농가의 꽃가루 채취 작업을 저지하는 행정명령을 하달했다. 마침 화접시기다보니 농민들의 불만이 높아만 가고 있는 상황이다.

과수화상병은 세균에 의해 사과나 배나무의 잎·줄기·꽃·열매 등이 마치 불에 타 화상을 입은 듯한 증세를 보이다가 고사하는 병이다. 몇 그루만 감염돼도 과수원 전체를 폐원할 정도로 치명적인 질병으로 감염되면 치료나 방제 약이 없어 반경 100m 이내의 과일나무들은 뿌리째 뽑아서 태운 뒤 땅에 묻는 방식으로 폐기해야 한다. 또 확산 속도가 빨라 이동통제와 같은 차단하는 조치가 필수적이다.

이에 최근 대전시를 비롯한 충청권 각 지자체들은 품목별 과수화상병 등록 약제를 개화기 전후 방제 적기에 살포하고 묘목 유통을 관리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특히나 과수화상병 발병이 잦은 충남의 경우, 농가에 공용 꽃가루 채취기계를 통한 작업을 지양하라고 통보한 상황이다. 아예 채취기계 사용 지원사업을 중단한 지역도 있다. 이에 농가들의 시름이 깊다.

충남에서 과수원을 운영하는 A 씨는 “체취기계가 개인마다 다 있는 게 아니다. 보통 농업기술센터나 농협 공용기계를 많이 쓰는데 꽃가루로 인해 과수화상병 확산이 우려된다고 사업을 접어버리면 화접을 어떻게 해야하는가. 인공수분을 하려면 꽃가루를 반드시 채취해야 한다”며 “수입산 꽃가루를 이용해 화접하는 경우도 있지만 가격 부담이 크다. 그리고 품질이 떨어질 게 가장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과수원 관계자도 난감한 기색을 감추지 못 한다. 그는 “자제 권고가 아니라 통보였다. 갑자기 개인농가용 채취기계를 마련하기는 어려워서 머리가 아프다”며 “차라리 수입용 꽃가루 구입비를 지원해주면서 이러는 거면 말을 안 하겠다. 말로만 그러지 말고, 종합적으로 대책을 세워달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논산 등 인근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하자 그간 청정지역이었던 대전 역시 과수화상병 예방에 돌입했다. 다만, 대전의 경우 자가채취 경우가 거의 없어 우려가 덜하다는 게 대전농업기술센터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는 “논산이 인근에 있지만 이미 해당 과수에 대해서는 매몰처리가 들어갔으며 대전에선 대부분 중국산 꽃가루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병 걱정이 덜하다”며 “곧 여름이 오니까 매몰지 관련한 우려도 종종 있는데 과수화상병의 경우 구제역 등과는 달리 식물체를 묻기 때문에 매몰지로부터의 감염 등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설명했다.

김미진 기자 kmj0044@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