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금융 중심’, ‘충청권 지방은행’
인수위 정책과제에 모두 이름 올려
성격 달라 충분한 시너지 예상

[금강일보 신익규 기자] <속보>=차기 정부가 충청권 지방은행과 기업금융 중심의 대전 본사 은행을 모두 설립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두 은행의 성격이 크게 다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은행 간 특성을 고려한 세심한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본보 12·14일자 1면 등 보도>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7일 17개 시·도 7대 공약 및 15대 정책과제 발표하며 대전시의 15대 정책 과제엔 ‘기업금융 중심의 충청권 지역은행 설립’을, 충남도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통한 충청권 연계 강화’를 포함시켰다.

차기 정부의 정책 과제에 두 지역은행 설립 공약이 모두 담기면서 충남도의 우려도 일정 부분 불식됐다. 구체적인 역할에 대해 공식적으로 답변을 내놓은 건 아니지만 이미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란 충청권의 대승적인 합의가 이뤄진 상황에서 인수위가 추가적으로 기업금융 중심의 대전 본사 은행도 추진한다는 건 두 은행의 차별화가 분명 있다고 분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두 지역은행은 상당한 차이점을 지닐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에 본사를 둘 지역은행은 과제명 그대로 기업금융에만 방점을 찍을 은행의 형태가 되고 충청권 지방은행은 역외유출 최소화를 위한 목적을 가진 일반 지역은행의 성격을 띨 가능성이 크다. 우선 대전에 둥지를 틀 기업금융 중심의 은행은 미국 실리콘밸리뱅크를 표방한 은행일 것으로 보인다.

실리콘밸리뱅크는 단지 내에 입주한 벤처 기업들의 든든한 자금줄 역할을 담당했는데 시 역시 또한 자본금을 대주며 지역 벤처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시키는 것을 골자로 이미 인수위에 제안한 상태다.

투자자 중심의 자금 회수가 이뤄진 기존 벤처 캐피탈을 탈피해 투자자의 원활한 원금 회수와 벤처 기업의 여유로운 자금 활용 등을 도모한다. 특히 재무재표에 수치화되지 않은 유망한 기술력과 잠재력을 갖췄지만 재원이 부족한 기업을 수요로 하는 만큼 충청권 지방은행과는 결을 달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충청권 지방은행은 지역 내 자금을 조달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금융 활동 지원을 목표로 한다. 과거 1997년 퇴출된 충청은행을 이어 받아 충청권 자금 역외 유출을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2019년 기준 충남의 역외 유출은 25조 477억 원으로 전국 1위 규모였는데 이는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에 충분한 당위성으로 작용한다.

시 관계자는 “스타트업이 초기에 기업금융 중심 은행을 통해 성장, 시장에 안착하면 추후 충청권 지방은행의 수요가 된다. 대전과 충남 모두 윈윈할 수 있다. 장기적으론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기업금융 중심 은행은 물론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인수위 등과 긴밀하게 협력하겠다”라고 머말했다.

신익규 기자 sig26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