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은애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금강일보] 전 연령대를 아울러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 비염이다. 알레르기 비염은 코의 점막에 생긴 알레르기 염증에 의해 발생하며, 콧물, 재채기, 코막힘, 코간지럼 등의 비염 증상이 있으면서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특이 IgE(immunoglobulin E)를 가지고 있을 때를 말한다. 알레르기 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흡입 알레르겐이다. 계절과 관계없이 연중 지속되는 알레르기 비염은 집먼지 진드기, 바퀴벌레, 실내 곰팡이, 애완동물(개, 고양이 등) 등의 실내 알레르겐이 주요한 원인물질이다, 이 중 집먼지 진드기는 실내 알레르겐 중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절지동물인 진드기의 일종으로 실내 먼지나 카펫, 침구류, 침대 매트리스 속에서 서식한다. 크기가 0.3~0.5㎜로 작아 육안으로 찾아내기가 쉽지 않지만 집먼지 진드기의 배설물이나 죽은 충체 등에서 유래한 알레르겐이 감작된 사람에게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눈물, 콧물, 재채기, 코막힘이 반복적으로 생기면 집먼지 진드기에 의한 알레르기 비염을 고려해 봐야 한다.
또 다른 대표적인 실내 알레르겐은 개, 고양이다. 고양이 알레르겐의 항원성(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성질)이 개보다 강하며 개, 고양이의 털, 비듬, 침, 소변에 존재한다. 공기를 통해서도 전달되기 때문에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고양이가 있는 실내에 들어서자마자 바로 눈이 간지럽고 충혈되며, 비염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이 밖에 바퀴벌레나 실내 곰팡이도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면 특정 계절에 갑자기 비염이 발현되거나 심해진다면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으로 꽃가루, 실외 곰팡이 등과 같은 실외 알레르겐이 원인이다. 봄철 알레르기의 주된 원인은 참나무, 자작나무 등의 수목류이며, 소나무 꽃가루는 양은 많으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
알레르기질환은 원인 제거 및 환경관리가 우선이다. 대표적인 흡입 알레르겐인 집먼지 진드기는 침구류, 천으로 된 가구류 등에서 잘 번식하므로 천으로 된 제품은 치우고, 침구류는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로 매주 세탁하는 것이 좋다. 카펫이나 침구류를 뜨거운 햇볕에 말리는 것도 도움이 된다. 침대 매트리스와 베개는 알레르겐이 통과하지 못하는 덮개(비투과성 덮개)를 씌우는 것을 권장하며, 헤파(HEPA) 필터와 이중백이 있는 청소기를 사용해 정기적으로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동물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원인이 되는 동물을 키우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고양이 알레르겐은 집에서 고양이를 제거해도 4~6개월 이상 남아 있을 수 있고, 매트리스에는 수년간 남아 있기도 한다. 따라서 원인 동물을 집에서 치우고, 카펫이나 천으로 된 가구 등도 함께 제거하고, 새로운 침구, 비투과성 덮개 등을 사용하며 실내 청소를 자주 하면 알레르겐 농도가 훨씬 빨리 감소한다.
꽃가루와 같은 실외 알레르겐은 원인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꽃가루나 곰팡이가 많은 시기에는 가능한 창문과 문을 닫아 실외 알레르겐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고 꽃가루가 많은 날에는 외출을 피해야 한다. 꽃가루는 하루 중 오전 6~10시에 가장 많은 양이 날리므로 아침에 하는 조깅이나 운동, 창문 개방은 피하고, 비온 뒤 2시간 이내 또는 바람이 없는 날 외출하면 알레르겐의 노출을 줄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