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적으로 메가시티 인프라 구축
대전엔 방사청 이전 등 공약 내세워
세종은 대통령집무실 이전 등 추진

[금강일보 신익규 기자] <속보>=차기 정부가 대전과 세종지역 공약은 물론 정책 과제에 대한 세부적인 청사진을 공개했다. 큰 틀에서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을 선도할 교통망 구축을 거시적으로 내세웠고 대전의 경우 방위사업청 이전, 기업금융 지역은행 설립 등을, 세종엔 대통령 세종집무실·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등을 제시했다. 대전시와 세종시가 요구했던 각종 현안이 구체화되면서 지역사회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본보 28일자 1·4면 등 보도> ▶관련기사 3·4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는 28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대전·세종지역공약 대국민 보고회를 열고 각 지역의 7대 공약과 15대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인수위는 전날 17개 시·도의 공약 및 정책과제를 공개했는데 여기서 언급된 정책과제에 대한 로드맵을 부연 설명했다.
우선 차기 정부의 대대적인 광역교통망 구축 계획이 눈에 띈다. 인수위는 대전과 세종의 교통권 통합 및 경부·호남 고속도로 고속화를 위해 대전 중심 100㎞의 순환 고속도로 건설을 약속했다.
충청권의 1시간 생활권 조성을 목표로 대전 외곽을 아우르는 제2순환 고속도로를 조성키로 한 거다. 충청권 주요도시도 서로 한 축으로 연결되는 광역 교통망을 갖추게 된다. 대전과 정부세종청사, 청주국제공항 등을 연결하는 충청권광역철도 구축 등도 발표했다.
물리적으로 충청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 지역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메가시티의 인프라를 조속히 마련하겠단 방침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항공우주청(가칭)의 대안으로 제시한 방위사업청 이전도 공약에 포함됐다. 인수위는 오는 2029년까지 정부대전청사 유휴부지에 방사청을 입주시켜 대전을 국가 방산정책의 중심지로 조성하겠다고 방향성을 밝혔다.
특히 국방 관련 신설조직 및 이전 계획 기관을 대전에 추가 유치하면서 안산 첨단국방클러스터와 함께 방사청을 필두로 한 대전의 국방산업 발전 계획을 내놓았다. 베일에 싸였던 기업금융 중심의 충청권 지역은행 설립 공약도 정체가 밝혀졌다.
차기 정부는 한국벤처투자은행(가칭) 설립안을 내놓으며 신산업 및 신기술 자금 조달 및 운용 등을 통해 벤처금융과 벤처 투자 활성화에 나설 예정이다. 산업은행과 중소기업은행 등에서 나타나는 한계성으로 인해 기존 금융체계에서 탈피한 기업금융 중심의 은행을 새로이 만들겠다는 거다.
세종지역 공약은 균형발전에 초점이 맞춰졌다. 정부세종청사 1동 국무회의장을 활용해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와 중앙지방협력회의를 개최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후 오는 12월 입주 예정인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신청사) 내에 집무실을 마련하고 최종적으로는 2027년 국회 세종의사당 개원에 발맞춰 비서동과 관저를 포함한 세종집무실을 신축할 계획이다.
국가균형발전의 중심을 세종으로 설정하겠단 뜻이다. 국립중입자가속기 연구·의료센터를 국립세종의료원과 연계 설치함으로써 중부권 의료 기반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차기 정부가 중점적으로 관리한다.
충청권의 상생협력을 발전시키는 각종 공약도 모습을 드러냈다.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초광역협력의 마중물을 마련하고 충청권 상생협력 국가산단과 제2 대덕연구단지 조성 등을 약속해 충청권 과학기술 산업의 발전도 도모했다. 최근 공모 사업으로 선정된 산단대개조 사업과 연계해 대전산단의 스마트 그린 혁신산단으로의 변화도 꾀했다.
신익규·전병찬 기자 sig260@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