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메가시티 공동사업 순항하나
선발주자 부·울·경 지자체간 이견
선례 재현 없으려면 충청 협치 필요

충청권 메가시티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특별자치단체 설립 준비는 한창이고 지역화폐 통합과 지방은행 조성 등의 공동사업이 순항 중이다. 지역 이기주의에 무너지는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의 선례를 답습하지 않기 위한 충청권의 협치가 절실한 시점이다.
21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각 시·도지사 당선인 인수위원회는 메가시티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이들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균형발전의 선제적 과제가 메가시티라고 입을 모았던 만큼 남다른 추진 동력을 보이고 있다. 조만간 충청권 메가시티의 행방을 주도할 특별자치단체도 원활하게 밑그림이 그려질 전망이다. 특별자치단체 출범 전부터 충청권 자치단체가 함께하는 공동사업 역시 순조롭게 진행되는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지역화폐의 충청권 통합안은 민선8기 시작 전부터 각 시·도지사 당선인 인수위를 통해 언급되고 있다. 충청권 내 발행되고 있는 20여 개의 지역화폐를 충청권 어디서나 사용하더라도 기존 혜택을 고스란히 받을 수 있다는 게 골자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역공약으로 채택된 충청권 지방은행도 지역 소득의 선순환이란 필요성에 모두 공감하면서 탄력을 받고 있다. 두 사업의 세부적인 내용이 특별자치단체 출범 이전에 정리될 수 있다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관건은 메가시티 설립까지 충청권의 합치 지속 여부다. 이미 한 발 먼저 메가시티를 가시화한 부·울·경은 구체적인 설립 위치를 두고 이견을 보이며 순항하지 못 했고 민선8기 광역단체장 당선인 간 간극이 더욱 커져 빨간불이 켜졌다. 이 같은 우려가 메가시티 후발주자인 충청에도 나올 수밖에 없다. 앞서 충청권 자치단체는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의 지방은행 설립 공약을 둘러싸고 잠시나마 어색한 기류를 경험해서다.
해당 공약을 ‘충청권 지방은행 본사를 대전에 둔다’라고 해석할 수 있어 이를 추진한 충남도, 공약에 따른 이익을 보게 될 대전시 간 보이지 않는 신경전이 펼쳐졌다. 다행히 충청권 지방은행과 대전에 본사를 둔 은행은 별도 사안인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해관계로 인한 불화는 충분히 나올 수 있단 점을 시사했다.
충청권 한 자치단체 관계자는 “메가시티에 대한 의지가 남다르더라도 모두가 같은 의견을 보일 수 없다. 분명히 이견을 보이고 갈등을 내비칠 때가 있다. 소통과 협의가 가장 중요하고 명확한 역할 분배를 통해 가져갈 건 가져가는 대신 내줄 건 내주는 협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신익규 기자 sig260@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