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우려했던 대로 6%대로 올랐다. 5일 통계청은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6.0% 상승해 108.22가 됐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사이 6.0% 이상 오른 것은 IMF 사태 직후인 1998년 11월 이후 23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치솟는 물가에 국민들의 살림은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특히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무려 7.4%나 올랐다. 두부, 라면, 돼지고기, 쌀, 닭고기 등 소비자 구입 빈도가 잦고 지출 비중이 커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품목 144개의 가격 변동을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가 더 오르면서 서민들의 부담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품목별 인상률을 보면 대외여건의 영향력이 여실히 반영됐다. 석유류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39.6%나 급등했고 축산물 인상률이 10.3%에 달했다. 여기에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도 9.6% 올라 물가 인상을 주도했고 가공식품 인상률도 7.9%로 평균을 상회했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물가 인상이 앞으로도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 월별 소비자물가는 1월 3.6%, 2월 3.7%, 3월 4.1%, 4월 4.8%, 5월 5.4%, 6월 6.0%를 기록하는 등 갈수록 오름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전기 수요가 급등하고 휴가철 여행 수요가 커지는 7월 이후에는 7%대의 물가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처럼 물가 급등세가 가팔라지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도 불가피해졌다. 특히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하는 것이 아니냐는 예측도 나온다.

생활 물가가 치솟고 금리 인상으로 경제고통지수 급등을 유발하면서 서민 삶의 질은 악화될 수밖에 없다. 현대경제연구원이 5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으로 경제고통지수는 올해 8.4p로 2001년 5월(9.0p)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민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는데도 정부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연일 대통령도, 정부 경제 수장도 물가 대책을 강조는 하고 있지만 국민들이 실감하는 정책은 유류세 인하로 기름값이 쪼금 내린 것이 고작이다.

물론 최근 물가 상승은 전쟁이나 글로벌 공급망 위기 때문인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이렇게 손을 높고 있어서는 안 된다. 경제부처 간 정책의 기간 구조와 수단의 강도 조절 등 긴밀한 공조 속에 현실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세계사에서 물가와의 전쟁에서 패한 정권이 국민의 지지를 받은 적은 없다. 지금부터라도 심기일전해 물가 잡기에 더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