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지제거가 정답은 아니다
대기정화, 소음·미세먼지 저감 등
부작용보다 순기능이 훨씬 많아
공생방안 찾기 위해 머리 맞대야

사진= 연합뉴스

공해나 재해 우려가 높은 지역으로부터 생활지역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된 완충녹지에 대한 부작용들이 포착되며 이를 없애야 한다는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핵심은 대전시민에게 쉼터로 제공되고 있는 만큼 순기능을 제대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는 게 사실이다. 단순한 완충녹지 제거만이 불만을 해결할 수 없는 만큼 이들과의 상호소통을 통해 올바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완충녹지와 관련된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 대전 유성구 궁동네거리 장대동 학사마을·대학마을 일대에 조성된 도로변 완충녹지로 인해 5층 높이의 건물이 가려질 만큼 높은 수목이 우거지며 상가 간판 등을 가리는 바람에 주민들의 민원이 빗발치는데 충남 홍성의 내포신도시나 충북 청주 등에서도 비슷한 갈등이 일기도 했다.

충북 청주에 위치한 원마루시장의 경우 주변에 대단위 공동주택이 위치해 유동 인구가 많은 편인데 4차선 도로 옆에 조성된 완충녹지로 인해 상권이 활성화되지 못했다는 불만이 지속적으로 나왔다. 이에 청주시는 지난 2015년 1억 2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원마루시장에 인접해 있는 완충녹지 내 수목을 제거하고 보행도로와 주민쉼터를 조성했다. 이를 통해 원마루시장은 프리마켓 등의 행사를 개최하는 등 지역 대표 휴식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원마루시장상인회에 따르면 이를 통해 원마루시장 내 식당들의 평균 매출이 30% 이상 증가했다.

원마루시장 상인회 관계자는 “매출이 배 이상 오른 곳도 있다. 완충녹지를 제거하고 발생한 것이라 완충녹지 제거 효과라고 밖에 설명할 길이 없다”라고 말했다.

원마루시장은 완충녹지를 제거하고 순기능이 나오긴 했지만 이는 절대 정답이 아니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완충녹지의 소음 저감에 효과를 못 낸다는 연구 결과가 있긴 하지만 기후위기 상황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장기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도심 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 같은 주장은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나오는데 이들은 탄소중립 실천 차원에서 수목이 갖는 중요성이 있어 완충녹지를 제거하는 게 무조건적으로 바람직하진 않다는 주장을 내놓는다.

완충녹지가 공해와 소음으로부터 시민들의 건강을 지키고 쉼터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이를 보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 도심 속 숲은 대기정화, 미세먼지 저감 등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데 느티나무 1그루는 하루에 8시간 광합성을 할 경우 이산화탄소 2.5톤을 흡수하고 1.8톤의 산소를 방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게 정설이다. 이는 성인 7명이 연간 필요로 하는 산소량이다. 또 나무 한 그루는 연간 35.7g의 미세먼지를 흡착하고 흡수한다. 1㏊로 계산했을 때 연간 대기오염 물질 168㎏을 제거한다.

문성호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는 “완충녹지라는 쉼터를 찾아 이동하는 시민들도 있는 만큼 녹지가 지역 상권 활성화를 저해한다는 데는 무조건 공감하기 어렵다. 과거 한반도에서 가장 덥다는 대구는 나무심기 이후 온도가 크게 낮아졌다는 최신 연구결과가 있다. 완충녹지를 단순히 제거하기보단 이를 잘 살려 주민 모두가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도출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신성재 기자 ssjreturn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