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관+기업 시너지가 관건
수출금융 등 지원정책 확대 과제
인근 국방도시와 협력도 필수

▲ 방위사업청은 현대로템과 한화디펜스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폴란드 군비청과 K2 흑표 전차 및 K-9 자주포 수출을 위한 57억 6000만 달러(약 7조 6780억 원) 규모의 1차 이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1차 수출 물량은 K2 전차 180대, K-9 자주포 48문이다. 사진은 K2 전차. 현대로템 제공

방사청 이전 이후 지역 방산업이 활성화되려면 방산 대기업 유치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충청권에도 일부 방산업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대규모 투자 및 구심점 역할을 할 대기업이 늘어나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전국 방산·협력 업체 972개 중 231개(23.8%)가 대전에 자리를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대전에는 위성 및 이동형 수신처리시스템을 제작하는 ㈜쎄트렉아이, 충남 논산에는 신관과 센서를 제작하는 풍산 FNS 등이 있으나 방산 대기업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충청권 방산업계 총 매출 비중은 저조하다.

산업연구원의 ‘국내 방위 관련산업 클러스터 비교분석과 정책 과제’를 보면 지난 2016년 대전의 방산 매출액은 1690억 원으로 전체의 1%에 불과했고 수출은 93억 원으로 전체의 0.4%, 고용은 1093명으로 3.0%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충북지역은 2016년 기준 방위산업 분야 매출액은 1조 4095억 원을 기록하며 전체의 8.6%를 차지했다. 수출은 1327억 원으로 5.9%, 고용은 4093명으로 11.1%를 기록했다.

방사청 지방이전 유치전에서 가장 큰 적수로 평가받았던 창원은 2016년 기준 방위산업 생산 4조 5000억 원(27.3%), 수출 3400억 원(15.1%), 고용 7900명(21.7%)을 기록했다. 창원에는 대표적으로 K9 자주포를 수출하는 한화디펜스, K-2흑표전차를 생산하는 현대로템이 있고 항공과 해상 방산 협력업체도 다수 포진한 상태다.

이처럼 충청권도 방산 대기업 유치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대기업 유치를 통해 대덕특구 내 위치한 한화 종합연구소, 풍산 방산기술연구원, LIG넥스원 대전사무소,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전연구센터 등 방산 관련 기업 연구소 및 방산대기업·중소벤처기업 간 상생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면 충청 지역을 국방산업 특화지역으로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의 한 방위산업체 관계자는 “경남엔 기계, 항공, 조선 등 기반산업 및 방산 관련 대·중·소 기업이 밀집돼있다”며 “특히 대전은 기술개발을 위한 인프라는 충분하다. 방산 대기업 추가 유치와 관련 제조업종 육성으로 산업기반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일각에서는 인근 국방도시 간 협조를 강화해 충청권으로 진입하는 방산대기업에 대한 혜택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충남의 한 방위산업학과 교수는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유입을 위해 수출금융 등 수출절충교역 지원, 무기체계 개조개발 지원사업의 규모와 사업범위를 대기업까지 확대해야 한다. 또 중·후발국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한 중고무기 수출, 잉여물자 인계를 위한 정책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