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하위 전력자립도 탈피 기대
1000여명 규모 고용창출도

대전 평촌산업단지 내 시간당 40㎿에 달하는 전기를 생산하는‘지역상생형 연료전지발전소’가 오는 2025년 들어설 예정이다. 향후 최하위 전력자립도 탈피와 더불어 대규모 투자를 통한 1000여 명 규모의 고용창출 효과까지 기대되고 있다.
대전시는 7일 시청에서 SK가스, LS일렉트릭, CNCITY에너지, 연료전지사업추진위원회 등과 지역상생형 연료전지발전소 건립을 위한 투자 및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을 통해 SK가스와 LS일레트릭은 내년부터 3500억 원을 투입, 서구 평촌산업단지 1만 8000㎡부지에 40㎿ 규모의 연료전지발전소를 건설한다. CNCITY에너지는 도시가스 배관을 투자하고 가스공급에 나서기로 했다. 시는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지원하고 추진위는 발전소 건설과정의 원활한 공사를 위해 협조한다. 연료전지발전소가 성공적으로 들어서면 2019년 기준 1.9%인 대전의 전력자립도를 5.1% 끌어올릴 수 있다. 또 투자와 연료전지발전소 가동 등을 통해 지역에 1045명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의 조기공급으로 기성동 지역 에너지 복지도 가능하다. 특히 연료전지 발전은 일반 화력발전에 비해 공해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 이산화탄소배출량도 크게 줄어 탄소중립도 실현할 수 있다.
이장우 시장은 “기업이 지역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이를 통해 주민숙원사업을 이루는 지역상생형 연료전지발전소 구축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신성재 기자 ssjreturn1@ggilbo.com
신성재 기자
ss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