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자금현황·금융이용 애로 실태조사
“소기업과 소상공인 위한 정책 지원 확대 필요”

사진 = 중소기업중앙회
사진 =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 10곳 중 대부분이 '금융권 상생대책'을 잘 모르거나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가 지난달 5일부터 8일까지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기 자금 현황 및 금융이용 애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현재 자금사정을 묻는 질문에 ‘비슷하다’는 응답이 54%로 가장 많았다.

‘곤란하다’는 응답도 28%에 달해 ‘원활하다’(18.0%)는 응답보다 높았다.

특히 매출액 10억 원 미만 기업의 58.9%가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고 답했다. 같은 질문에 매출액 200억 원 이상 기업은 11.1%만 ‘곤란하다’고 했다.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적거나 같다고 응답한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은 51.7%로 조사됐다. 조사대상 중 46.1%의 기업이 기준금리가 2%p 더 오를 경우 연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이자비용’으로 인한 문제가 심화되기 전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서 발표한 상생대책에 대한 인지와 경험에 대한 조사에서는 ‘잘 모르겠음’(73%), ‘알고 있으나 이용 못함’(24%), ‘알고 있고 이용함’(3%) 순으로 나타났다. 상생대책에 대해 모르고 있거나 이용하지 못한 기업이 97%에 달했다.

상생대책 이용자의 70%가 ‘금리 감면’이 가장 도움이 됐다고 했다. 상생대책을 알아도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별로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서’(48.6%)와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서’(33.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정책자금과 관련한 조사에서는 응답기업 중 46%가 정책자금을 이용했다. 정책자금을 이용한 기업들은 64%가 만족했고 불만족하는 기업은 6.4%에 불과했다.

불만족 이유(복수응답)로는 ▲복잡한 신청절차(66.7%) ▲높은 보증수수료(66.7%) ▲지원한도 불충분(44.4%) ▲높은 이자율(44.4%) 순이었다. 정책자금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필요하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52.8%로 가장 많았다. 잘 몰라서(18.0%)와 과도한 서류(6.8%)가 뒤를 이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매출액이 낮은 기업의 자금 사정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며 “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 금융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서지원 기자 jiwon40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