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일 대전시 대덕구 소재 한국수자원공사 본사에서 열린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 착수보고회에서 사업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한국수자원공사가 8일부터 기후위기에 대비,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AI 디지털 혁신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은 기후변화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급변하는 대외 환경에 대비해 안정적인 수도 공급을 위해 추진된 것으로, GIS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하는 의사결정형 통합플랫폼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GIS 기반 데이터 통합모니터링 체계구축, 관망 수질 위험지도(Risk Map) 개발, Al 기반 관로 누수탐지 솔루션 개발, 수돗물 안심서비스 등 공공서비스 모바일 앱(APP) 개발 등이다.

수자원공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관로, 수질 등 수돗물 공급 과정상에 발생할 수 있는 수도사고 사전 예방 및 유수율 향상 등으로 국가 상수도 선진화에 기여하고, 정수장에서 각 가정 내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대한 공공서비스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수돗물 신뢰도 향상 또한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숙주 수도부문 이사직무대행은 “AI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 구축을 통해 우리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플랫폼 정부의 실현에 적극 부응할 계획”이라며 “성공적인 모델 개발로 전 지자체 확산 및 국민 물 안전, 물 복지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