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확률 10% 넘는 '부실기업' 빚 4년 만에 2.3배
“저축은행, 은행보다 자본확충 필요성 높아”

최근 기업부문의 부채 리스크(부도확률)를 측정한 결과 부실기업(부도확률>10%) 부채가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부동산업, 운수업, 건설업의 부실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도 확률이 10%를 넘는 부실기업의 부채가 4년 만에 2.3배로 불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0일 ‘기업부채 리스크와 여신 건전성 추정’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코스피·코스닥·코넥스·외감법인 중 비금융 기업 3만 5000여개를 분석, 부도 확률이 10%를 초과하는 기업을 부실기업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기업 총부채는 지난 2018년 1719조 원에서 지난해 2719조 원으로 연평균 12% 증가했다.
반면 부실기업 부채는 같은 기간 91조 원에서 213조 원으로 연평균 24% 늘어 증가 속도가 더 빨랐다.
최근 5년간 부실기업 부채가 기업 부문 총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2018년 5.3%에서 지난해 7.8%로 커졌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 운수업, 건설업의 부실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기업 부도 확률을 바탕으로 업종 부도 확률을 계산한 뒤 이를 국내 은행·저축은행 대출 포트폴리오에 적용했다.
그 결과 부실 대출을 총기업 대출로 나눈 신용위험은 지난 2019년 감소한 이후 2020∼2021년 크게 늘었으며 2022년에도 그 수준이 지속됐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업권별 자기자본 대비 신용위험액(부실 대출) 비율을 비교하면 국내은행(11.8%)보다 저축은행(18.8%)이 더 컸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손실 부담 능력 면에서 국내은행에 비해 저축은행의 자본확충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국내은행 및 저축은행 기업대출 신용위험(부실대출/총기업대출)은 지난 2019년 감소한 이후 2020~2021년 코로나 사태 등의 영향으로 상당폭 증가했는데 지난해 그 수준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지원 기자 jiwon401@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