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취약계층 복리에 쓰이지만
市·서구 제외 4개구 모금액 3천만원대
타 시·도대비 고향 특색 없어
대전 일부 자치구의 고향사랑기부제가 출향인과 지역민으로부터 환영받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기부를 통해 들어온 예산은 지역의 문화·예술·복지 분야, 취약계층 복리 증진을 위해 쓰일 예정이지만 모금액이 3000만~4000만 원 정도로 저조해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올해 첫 시작된 영향으로 풀이되나 상당히 적은 기부금으로 인해 관련 사업을 시작하기까지 다소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다른 지역과 달리 전출·입 인구가 많고 답례품은 고향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특색이 없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고향사랑기부금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월부터 시행된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고향에 일정 금액을 기부하고 자치단체는 이를 모아 주민복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도다. 기부자에게는 세액공제와 더불어 고향에서 만들어진 답례품이 혜택으로 주어진다. 이를 통해 확충된 자치단체의 재정은 사회적 취약계층, 청소년 보호·육성, 문화·예술·보건 증진,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 지역주민 복리 증진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취지와 달리 관련 사업이 실행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고향사랑e음을 통해 기금사업을 살펴본 결과 시를 비롯한 5개 자치구의 고향사랑기금 사용계획서에는 ‘일정규모 이상 사업비 확보시까지 기부금 전액 적립’, ‘기부금 모금액 규모에 따라 계획 수립’, ‘모금 추이에 따라 수립 예정’ 등의 내용이 주를 이뤘다. 일정 금액을 적립할 때까진 별도 사업을 진행하지 않겠단 얘긴데 문제는 기부금이 저조하단 점이다.
적립액이 적을수록 별도 사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13일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이날 기준 고향사랑기금은 동구 3904만 9000원(430건), 중구 3475만 3800원(365건), 서구 5536만 8000원(347건), 유성구 3148만 7300원(397건), 대덕구 3493만 1400원(370건) 등이며 대전시는 11월 초 기준 4600만 원(650건)이 모였다. 시와 서구를 제외하면 다른 자치구의 적립금은 3000만 원대에 불과하다. 각 자치구는 답례품 납품업체 발굴과 더불어 고향사랑기부제를 알리는 홍보를 병행하지만 미온적인 현장 반응이 아쉽기만 하다.
대전의 한 자치구 관계자는 “답례품 공급업체도 함께 찾아나서며 기부를 홍보하고 있지만 기부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느끼는 곳도 있다”라고 토로했다. 이어 “현재 기부금으로 사업을 발굴하면 단발성에 파급효과가 적을 수 있다. 최소 억 단위가 모여야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봐야한다. 올해 첫 시행돼 모금액을 예측하기 어려웠으니 추이를 지켜본 후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은 타 시·도와 달리 전출·입 인구 발생이 잦아 고향이라는 애착을 갖기 힘든 구조도 지적된다. 다만 올 첫 시행인 만큼 지속적인 홍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광역시는 다른 시·군에 비해 고향이라는 특색이 낮은 영향으로 보인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곳에 비해 기부금이 저조하다. 첫 시행이기 때문에 추후 적립금이 누적되는 것에 따라 사업을 발굴·선정하겠다. 현재 이벤트 등을 통해 지속적인 홍보를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kjh0110@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