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기한 표시율 90% 넘겼지만
계도기간 내 생산된 ‘유통기한’ 제품 유통 가능해

사진=연합
사진=연합

<속보>=소비기한이 표시 전환율 90%를 넘기는 등 순항 중이지만 유통기한 제품에 대한 혼선 가능성이 엿보인다. 계도기간 내 생산된 유통기한 제품의 경우 혼재된 채 유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보 2월 7일자 8면 등 보도>

그간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판매가 허용된 기간을 의미하는 유통기한은 1985년 도입된 이후 40년 가까이 이어졌다. 그러나 식품 보관 기술이 발달하면서 시중 제품의 경우 유통기한이 지나도 일정 기간 섭취가 가능하지만 소비자가 유통기한을 폐기 시점으로 인식하면서 음식물 낭비가 늘어난다는 지적이 계속됐다.

이에 따라 2021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폐기물 감소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식품에 표기되는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바꾸는 제도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다만 시행일에 맞춰 일괄적인 변경이 어렵다는 점과 포장지 폐기 스티커 부착 등 비용 부담, 자원 낭비 우려, 소비자의 인식 고착화 등을 고려해 올해 계도기간을 가진 뒤 내년부터 본격 시행하기로 했다. 계도기간을 통해 국내 식품업계 매출 상위 100개 기업의 제품(국내 식품 매출액의 약 50% 점유) 대상으로 소비기한 표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 소비기한 표시 전환율은 94.2%나 됐다. 지난 2월 34.8%에서 60%포인트나 오른 것이다. 지난달 실시된 소비기한 인식도 조사에서도 ‘소비기한에 대해 잘 알고 있다’라고 응답한 소비자는 88.5%로 지난해 7월(34.5%)보다 50%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이처럼 소비기한에 대한 전환율과 인식 모두 높아지는 추세지만 문제는 계도기간 생산된 유통기한 제품이다. 유통기한이 표기된 채 생산된 제품의 경우 소비기한이 본격 시행되더라도 소비기한 표시 제품과 혼재돼 유통될 수 있다.

식약처는 “소비자가 표시된 날짜를 철저히 확인하고 보관 방법을 준수하는 동시에 소비기한 경과 제품은 섭취하지 않고 구매한 식품은 가급적 빨리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 영업자가 각 식품별 특성에 적합한 소비기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식품별 소비기한 참고값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