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기상청이 자국 연안 도시들에 쓰나미 경보와 주의보를 발령해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1일 일본 기상청이 이시카와현 노토 반도 인근에서 규모 7.6 강진이 발생하자 독도에 쓰나미 주의보를 발령했다.
일본 기상청은 이날 이시카와현 노토 반도에 최대 5m 쓰나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대쓰나미 경보’를 발령한 데 이어 도야마·후쿠이현 등엔 아래 단계인 ‘쓰나미 경보’를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이해를 돕기 위해 홈페이지 지도에 대쓰나미 경보 지역은 보라색, 쓰나미 경보는 빨간색, 쓰나미 주의보는 노란색으로 표시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기상청은 독도를 다케시마(일본 정부가 부르는 독도 명칭)로 표기하고, 쓰나미 주의보에 해당하는 노란색을 칠했다. 지도엔 한반도와 제주도, 울릉도도 담겨 있었는데, 일본 기상청은 독도에만 쓰나미 주의보를 내렸다. 독도를 일본 영토로 규정한 셈이다.
기상청은 50㎝ 이상 해일이 예상되면 상황 발표를 한다.
그러나 실제 울릉도와 독도로 밀려온 지진해일은 20㎝ 미만에 그쳤다.
이번 사건은 일본 기상청이 피해 예측을 과도하게 하면서 피해 지역으로 독도를 자국 영토로 보이게 슬쩍 끼워 넣은 걸로 해석된다.
앞서 일본 기상청은 남태평양 통가 근처에서 해저 화산 분출 영향으로 일본을 포함한 환태평양 국가들에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자 독도를 경보 발령 지역으로 포함한 바 있다.

이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강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지난 2일 SNS를 통해 "일본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쓰나미 경보, 주의보 등을 표시하는 지도에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하고 있어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태풍, 쓰나미 경보 시 일본 기상청 사이트에 많은 일본 누리꾼이 방문하기에 독도에 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 줄 수 있다"며 "한국 정부도 일본 기상청에 강하게 대응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런 상황에서는 외신 및 한국 언론에서도 일본 기상청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일본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도를 캡처해 보도하는 경우가 많기에 자칫 독도가 일본 땅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지진을 기회로 독도를 지들 영토인거처럼 조작하다니",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 "재난은 안타깝지만. 일본의 이런 행태는 화가난다"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