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천 갑천대교 하류 준설 현장. 대전환경운동연합 제공

대전지역 환경단체가 대전시의 국가하천 재해예방과 관련해 수해로부터 안전한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대전환경운동연합은 29일 성명을 통해 “대전시는 국비 42억 원을 지원받아 갑천·유등천·대전천에서 국가하천 재해예방 정비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강우로 인한 피해 발생 시 홍수빈도와 강우 패턴 등 원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피해 예방을 준비해야 하지만 중앙부처에서 재해예방 차원 국비가 지원되니 그제야 하천기본계획의 하상유지를 이유로 준설을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하천 준설은 보여주기식 행정에 불과하다. 강을 아무리 파내도 큰비가 내리면 또 같은 자리에 모래와 자갈이 퇴적되기 때문이다. 매년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선도적 대응이 될 수 없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3대하천 준설 현장을 모니터링한 결과 천변에 자리 잡은 나무는 모두 베어져 있었고 흙은 파헤쳐져 속살을 드러내고 있었다. 특히 수중생물의 피해는 매우 심각하다. 준설 대상이 되는 원촌교, 갑천대교~계룡대교, 안영교~사정교 구간은 물살이들이 봄이면 산란하고 성어가 될 때까지 생활하는 곳이다. 이번 준설로 산란지와 서식지는 모두 파괴됐다”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기후위기로 강우 패턴은 단기간에 많은 양이 쏟아지는 형태로 바뀌었다. 이런 기상패턴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행정에서 말하는 무조건적 하천 준설이 아닌 도시의 물관리 시스템을 점검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갑천 원촌교 하류 준설 현장. 대전환경운동연합 제공
갑천 원촌교 하류 준설 현장. 대전환경운동연합 제공

김지현 기자 kjh011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