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S 방송 화면 캡처
사진=KBS 방송 화면 캡처

KBS가 광복절에 일본 국가와 전통 복식이 나오는 오페라 ‘나비부인’을 방송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지난 15일, KBS 1TV에는 앞서 6월 29일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된 오페라 ‘나비부인’의 녹화본이 방영됐다.

이탈리아 작곡가 자코모 푸치니가 작곡한 ‘나비부인’은 미국인 장교와 일본인 여성의 사랑을 다룬 작품이다. 극 중 주인공의 결혼식 장면에선 배경음악으로 일본 국가인 기미가요가 연주되고, 여주인공은 일본 전통 복식 기모노를 착용한다.

광복절에 기미가요와 기모노가 공영방송에 비춰지자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시청자들은 “광복절이 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무슨 짓이냐”, “제2의 일제강점기냐”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에 KBS는 같은 날 입장문을 내 “공연 예술 녹화 중계 프로그램인 ‘KBS 중계석’과 관련해 시청자들께 우려와 실망을 끼친 점에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방송 경위의 진상을 조사해 합당한 책임을 묻는 등 제작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겠다”며 “오늘 밤 방송할 예정이었던 ‘나비부인 2부’는 다른 공연 방송으로 대체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당초 7월 말 방송 예정이었다가 올림픽 중계 때문에 뒤로 밀려 광복절 새벽에 방송됐다”며 “바뀐 일정을 고려해 방송 내용에 문제가 없는지, 시의성이 적절한지 확인하고 검토하지 못한 제작진의 불찰”이라고 경위를 설명했다.

사진= KBS 방송 화면 캡처
사진= KBS 방송 화면 캡처

한편, 이날 KBS는 일기예보에서 잘못된 태극기 그래픽을 화면에 띄우는 방송사고도 있었다. 기상캐스터가 날씨를 안내할 때 광복절임을 알리기 위해 등장한 태극기가 좌우가 바뀐 채 송출됐다.

이에 KBS는 “이미지 표출에 실수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즉시 수정했다”며 “진심으로 사과 말씀 드리며 같은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 쓰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인물이 태극기를 들고 있는 장면에 맞추기 위해 제작자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태극기 그림을 반전시킨 결과”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