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시지역에서는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과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건물의 간판 및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 고층아파트 등 대형·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읍시다.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접근하지 맙시다.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2 농촌지역에서는 주택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합시다.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시다. 위험한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접근하지 맙시다.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3.해안지역에서는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집 근처에 위험한 물건이 있다면 미리 치웁시다.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시고 어망·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가족 간의 연락방법이나 대피방법을 미리 확인합시다. #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아무 물을 먹지 마시시고 물은 꼭 끓여 드십시오.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시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손대지 마시고 전문 업체에 연락하여 사용합시다. 사유시설 등에 대한 보수·복구 시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십시오. 제방이 붕괴될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마시고,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