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양국 간 무역 전쟁이라는 파국을 피하기 위해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전후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미·중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1일(현지시간), 5월 합의한 90일간의 '관세 휴전'을 90일 더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미 동부시간으로 오는 11월 10일까지 관세 유예 조치가 이어진다.

양국은 지난 4월 100%가 넘는 관세를 주고받으며 대립했으나, 5월 제네바에서 열린 무역회담을 계기로 각각 115%포인트씩 관세율을 낮추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미국은 중국에 부과한 추가 관세율을 30%로, 중국은 미국에 보복 관세율을 10%로 인하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이후 양측은 6월 영국 런던과 지난달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회담을 통해 관세 유예 연장을 논의해왔다.

이번 합의와 함께 중국은 지난 4월 미국 방산업체 12곳에 발표했던 수출 통제 조치를 중단하겠다고 밝혔으며, 미국에 대한 희토류자석 수출 규제도 완화하고 있다. 실제로 6월 중국의 대미 희토류자석 수출은 5월보다 667% 증가한 353t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번 관세 휴전으로 양국의 무역 갈등은 일단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으나, 향후 관세 전쟁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 "중국이 빨리 미국산 대두 주문을 4배로 늘리기를 희망한다"며 농산물 수입 확대를 압박했다. 또한 그는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도입할 것임을 예고하며 '트럼프발 관세 전쟁'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