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 81조에도 체감도 낮아
이장우 시장 ‘대전지수’ 추진 나서
시민 체감 지역경제 온도계 마련

대전시가 지역 상장기업의 주가 흐름을 반영한 ‘대전지수’ 신설을 추진한다. 연구기관과 기술기업이 밀집한 도시 구조에도 산업 전반을 가늠할 종합 지표가 없던 현실을 개선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경제의 온도계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지난 20일 열린 주간업무회의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에 본사를 둔 상장기업 66개사의 주가 흐름을 기반으로 한 대전지수 신설을 지시했다. 지역 기업의 성장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시민에게 투명하게 알리는 동시에 기업 성장세를 수치로 보여줌으로써 투자와 산업 구조 개편을 잇는 순환형 경제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전략적 판단에서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지역 기업의 시가총액은 81조 원을 넘어선 상황이다. 그러나 이를 지역경제의 활력으로 연결해 보여줄 체계적 기준은 부재한 게 현실이다. 이런 공백을 메우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바로 대전지수다.
시는 대전지수를 통해 지역 산업의 성장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에도 이런 기업이 있다’는 걸 수치화해서 보여줄 수 있는 상징적인 지표를 만들어 보자는 취지다. 앞으로 다양한 논의를 거쳐 실제 산출 가능성과 공표 방식, 어떤 형태로 운영·발표할지도 함께 고민해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지수의 핵심은 체감도에 달렸다. 개별 기업의 성과보다는 지역 기업 전체의 성장 흐름을 하나의 수치로 제시해 시민이 산업 변화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려면 체감도 구현이 무엇보다 중요해서다. 이 시장이 “대전에 본사를 둔 상장사의 시가총액이 지난달 기준 81조 원 이상으로 크게 늘었는데 시민들은 이런 사실을 거의 모른다. 대전 기업들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한 이유이기도 하다. 대전지수를 통해 지역경제의 실질적 성장세를 시민이 직접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는 얘기다.
다만 대전지수가 실질적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있다. 상장기업 모두를 포함한다 해도 업종과 규모가 제각각이라 이를 대전 경제를 대표하는 지표로 보기에 한계가 있는 점이 분명한 탓이다. 체계적인 분류 기준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가 대전지수의 성패를 좌우할 열쇠라는 게 전문가의 조언이다. 박종훈 국립한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아이디어 자체는 충분히 의미가 있다. 다만 대표성과 신뢰성이 확보돼야만 대전지수가 진짜 경제지표로 작동할 수 있다. 지수를 단순히 보여주기식 홍보 수단으로 만든다면 일시적인 관심에 그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데이터 관리와 산출 방식, 공표 체계까지 단계별 설계가 정교해야 지역 경제 흐름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