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건물 임차·리모델링해 운영
시설 노후화·구조 취약성 드러나
정부 인프라 재배치 방안 등 검토
대전시, 이전 경계 상황 예의주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운영에 대한 구조적 한계가 부각되면서 대전시가 내부적으로 상황 관리에 나서는 분위기다. 최근 화재로 시설 노후화와 건물 구조의 취약성이 드러난 가운데 정부가 국가 데이터 인프라 재배치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기관 이전 가능성에 대비한 시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28일 시 등에 따르면 국정자원 대전본원 건물은 애당초 데이터센터 용도가 아니었다. 정부가 2000년대 초 KT 소유의 연구동을 임차해 전산시설로 개조한 것이다. 당시에도 ‘연구용 건물을 국가 전산시설로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라는 우려가 제기됐고 행정안전부가 지난달 발표한 디지털정부 인프라혁신전략(안)에서도 국정자원 대전본원은 ‘일반 건축물을 리모델링해 화재 등 재난에 취약한 구조’라고 평가됐다. 정부 스스로 시설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행안부는 신규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채 KT와의 임대 계약을 오는 2030년까지 연장했다. 사실상 5년의 시간만 벌었을 뿐 근본적인 개선은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는 그 한계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전문가는 이번 사안을 국가 데이터 인프라의 구조적 재검토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해당 분야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임대 건물에 기반한 전산 행정 구조는 보안과 효율성 측면에서 지속가능하지 않다.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시대에 맞는 인프라 재설계가 필요하다”라고 꼬집었다.
그래서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와 대통령실이 주도하는 태스크포스(TF)가 국가 AI·IT 인프라의 분산 및 백업 체계 재편을 논의에 이목이 쏠린다. TF는 백업센터 구축과 이중화 구조, 주요 인프라의 지역별 배치 방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는데 그 결과에 따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역시 이전이나 기능 조정이 검토될 가능성이 있어서다. 국정자원 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AI·IT 인프라 재배치 전략이 수립 중이며 TF 결과에 맞춰 대전본원 이전 여부도 정리될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다.
시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국가 데이터센터의 분산 논의가 본격화되면 대전본원 기능 조정이나 이전이 현실화될 수 있어서다. 시 관계자는 “행안부 차원의 구체적인 방향이 확정되지 않은 만큼 대책 발표를 지켜보며 내부적으로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 재난 대응 차원의 시스템 분산이나 백업센터 구축이 논의되는 사안인 만큼 섣불리 이전 논의로 확대되지는 않도록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