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국민연금공단
사진 = 국민연금공단

국민의 노후자금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사상 처음으로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안정성을 우선시하던 운용 방식에서 벗어나,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기 위한 고수익 중심 전략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지난 3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민연금 적립금은 총 1269조135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국내외 주식 투자액은 635조5734억 원으로 전체 자산의 50.1%를 차지했다. 국민연금이 주식 비중 50%를 넘어선 것은 기금 운용 역사상 처음이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국민연금의 자산 구성은 채권 56.6%, 주식 32.2%로 채권 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였다. 그러나 2025년 6월 현재 채권 비중은 33.0%로 줄고 주식은 절반을 넘어서는 등 운용 구조가 완전히 뒤바뀌었다. 쉽게 말해 ‘안전한 예·적금(채권)’에서 ‘위험하지만 수익이 높은 펀드(주식)’로 체질을 바꾼 셈이다.

이 같은 변화의 배경에는 수익률 제고라는 절박한 목표가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보험료를 낼 사람은 줄고 연금을 받을 사람은 늘어나면서 기금 고갈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운용 수익률이 1%포인트만 높아져도 기금 고갈 시점을 수년 이상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민연금은 지금의 안정적인 운용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구조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 일정한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쪽으로 전략을 바꾼 것이다.

눈에 띄는 점은 주식 투자 중심이 국내가 아니라 해외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체 주식 자산의 50.1% 중 국내 주식은 14.9%(189조 원)에 불과한 반면, 해외 주식은 35.2%(446조 원)에 달한다. 이는 단순한 투자처 다변화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첫째, ‘위험 분산’이다. 1200조 원이 넘는 거대 자금을 한국 시장에만 묶어두는 것은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는 것’과 같다. 해외 시장으로 투자를 확대해 국내 경기 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둘째, 국내 시장에 대한 과도한 영향력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국민연금은 국내 증시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어, 특정 종목을 사고팔 때마다 시장이 크게 출렁이곤 했다. 해외 투자 비중을 높이는 것은 이러한 시장 왜곡을 줄이면서 더 넓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 기회를 찾기 위한 조치다.

이처럼 국민연금의 행보는 이제 국내를 넘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도 큰 관심을 끌고 있다. 1200조 원이 넘는 ‘슈퍼 펀드’의 투자 방향이 바뀌면 뉴욕과 런던 등 주요 증시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의 이번 ‘주식 50% 돌파’는 단순한 숫자의 변화가 아니라 국민의 노후, 한국 경제, 그리고 세계 금융시장의 흐름까지 바꾸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