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에 첫 삽 뜨지만, 갈등 봉합 '첩첩산중'

청주시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현도면 재활용선별센터’가 이르면 이번 주 내 착공을 앞두고 있다.

2019년 환경부 국고보조사업으로 선정된 지 6년 만에 행정 절차를 모두 마무리하며 첫 삽을 뜨게 되지만 여전히 일부 주민과 기업체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어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갈등 봉합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청주시 재활용선별센터 건립은 기존 휴암동 시설의 노후화와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시의 재활용 정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현도면 일반산업단지에 들어설 새 선별센터는 하루 110톤 처리 규모(6860㎡)로, 총사업비 371억 원을 들여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청주시는 국비 반납 시한이 다가오는 만큼 더 이상 사업을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는 이 시설이 탄소중립 사회 전환을 위한 필수적인 자원순환 인프라이며 매립장이나 소각장과는 달리 환경 유해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동안 이 사업은 절차적 하자와 주민 반발로 난항을 겪어왔다.

일부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등 필수 절차가 미흡하다며 행정심판을 청구했지만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며 청구를 기각했다.

청주시는 제3기관의 검증을 통해 사업의 정당성이 확인된 만큼 환경 인프라 확충의 시급성을 고려해 사업을 강행할 계획이다.

현도산업단지 입주기업체협의회의 비협조적인 태도도 사업 지연의 원인이었다.

청주시는 관리기본계획 변경 승인 신청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협의회는 6개월 이상 이를 거부하며 행정심판 등을 이유로 충청북도의 지휘·감독 명령까지 불응했다.

이로 인해 착공 시기가 지연되고 막대한 행정적·재정적 손실이 발생했으며, 청주시는 공익사업을 방해하는 행위가 반복될 경우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시의 소통 부족이 갈등을 키웠다는 비판도 나왔다.

그러나 청주시는 2022년 4월 현도면을 입지로 선정한 후 여러 차례 주민 설명회와 현장 견학을 진행하며 소통 노력을 지속했다고 밝혔다.

또한 최신 오염저감시설을 반영하고 냄새, 소음, 교통영향 등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주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려 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지난 8월 국민권익위원회의 중재로 반대 주민 요구사항을 담은 7가지 조정안(환경영향평가 의뢰, 소각시설 금지, 통학 시간 운행 제한 등)이 마련됐고, 청주시는 이를 수용했지만 반대 주민 측은 아직 수용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

향후 행정 소송 등 새로운 갈등 가능성도 있지만 청주시는 객관적인 데이터와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소통을 이어가며 주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주=김현수 기자 mak44@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