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산 공원묘지 내 2만 2000기 수용 규모 ··· 2027년 6월 개장

홍성에 2027년 6월까지 2만 2000여기를 수용할 수 있는 대단위 공설 자연장지가 조성된다.
군은 4일 매장중심에서 화장중심으로 변화하는 장례문화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2만 2616기 수용 규모의 자연장지를 2027년 6월 개장 목표로 공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현재 홍성추모공원 봉안당은 6000기가 수용 가능하나 10년 이내 한계가 예상되는 데다 갈산면 공원묘지는 2022년 이미 만장돼 장례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공설 자연장지 조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홍성군 자연장지는 갈산면 부기리 공원묘지 부지 5만 8403㎡에 조성되며 잔디장 1만 4198기와 수목장림 1260기, 수목장 1458기, 산분장 5700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자연장지 상부 공간에 1584기에 달하는 국가유공자 묘역도 마련된다. 또한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관리사무실과 쉼터, 화장실, 주차장 등 부대시설도 조성될 예정이다.
특히 ‘지속가능한 시간’이란 테마로 조성되는 자연장지는 대상지의 경관을 최대한 유지해 경관성과 편의성을 챙기고 고인의 편안한 쉼과 혐오시설이 아닌 방문객들의 쾌적함을 위한 공간으로의 면모를 갖출 예정이다.
공설 자연장지가 조성되면 홍성군의 장사시설 수용 능력에 크게 증대돼 최대 53년간 홍성 군내 사망자를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군이 분석한 장사시설 수급 추계는 2028년 기준 2787기, 2045년까지 1만 2448기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용록 군수는 “자연장지가 조성되면 군민의 장례 비용 절감과 국토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며 “뿐만 아니라 자연 친화적 환경에서 고인을 추모하고 자연 속에서 마음의 위안을 얻는 힐링의 열린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자연장’은 자연에서 온 인간을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낸다는 개념으로 화장한 유골을 수목과 화초,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장사하는 것을 말한다. 봉분 없이 개인표식 만을 설치해 매장이나 봉안당에 비해 환경훼손이 덜하고 비용도 적게 드는 선진 장례 방식이다.
홍성=이석호 기자 ilbolee@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