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화재 진압 및 해상 실선 시험 성공

한국기계연구원은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 AX융합연구센터 이혁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함정 유류화재에 특화된 자율형 초동진압 소화체계를 개발하고 실제 함정에서의 실선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이 시행한 ‘민·군 실용화연계사업’으로 진행됐으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충남대학교, ㈜수퍼센츄리, 육군사관학교 등이 참여했다.
이번에 개발된 소화체계는 연구팀에서 개발한 자율형 소화체계를 한층 발전시킨 기술로 함정에서 가장 자주 발생되는 유류화재에 특화해 설계됐다. 기존 함정용 소화설비는 화재 감지 시 해당 구역 전체에 소화제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허위경보 시 불필요한 피해가 발생하고 해상 환경에서의 정밀 조준이 어려웠다.
반면 기계연이 개발한 기술은 인공지능 기반의 정밀 화재 탐지와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해상 조건 대응 기술을 결합해 이러한 한계를 획기적으로 극복했다. 특히 화재감지 정확도 98% 이상을 유지하며, 폼 소화수 분사 거리는 약 24m에 달하고 실제 함정 시험 시 해상상태 3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검증됐다.
이와 함께 개활지 유류화재(4.5㎡ 유류 tray)와 함재기 등에서 누유로 발생할 수 있는 차폐 화재(3.0㎡ 유류 tray 상단 50cm에 헬기 크기 차폐물 설치) 진압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 실제 함정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유류화재에 대응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어 LST-II급 강습상륙함(일출봉함)에서 실제 함정 운용 시험을 실시해 파고 1m의 해상 환경에서 18m 떨어진 가상 화원에 소화수를 정확히 조준하는 데 성공했다.
이혁 선임연구원은 “육상 모사설비에서 실제 함정 환경까지 단계별 검증을 완료한 세계 최초의 기술”이라며 “함정에서 가장 위험한 유류화재를 개활지와 차폐 상황 모두에서 자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승조원의 안전과 함정의 전투력 보존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