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송전탑백지화대책위원회 공식 출범
“충남의 전력 식민지화 거부… 투쟁할 것”

지역 시민단체와 진보성향 정당 등으로 구성된 충남송전탑백지화대책위원회가 공식으로 발족하면서 호남에서 수도권으로 이어지는 송전선로 추진 중단을 정부에 촉구했다.
위원회는 6일 충남도청에서 출범식을 갖고 “충남은 대한민국 전력의 절반을 소비하는 수도권에 전기를 공급하느라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61기 중 29기를 떠안으며 온실가스 배출 전국 1위, 대기오염물질 배출 전국 2위 등 온갖 피해를 감내해야 했다. 그러나 수도권의 충남에 대한 일방적 수탈은 이것으로도 부족했는지 정부는 호남의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의 용인 국가반도체산업단지에 보내겠다며 충남 전역에 송전철탑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현 송변전 설비계획에 따르면 전북 새만금~충남 청양~경기 평택 고덕 노선과 새만금~신서산 노선, 전북 군산~충남 북천안~경기 신기흥 노선, 전북 신정읍~충남 신계룡~북천안 노선, 전북 신임실~신계룡 노선의 345kV 송전선로가 추진되고 있다. 정부가 전북에서 시작되는 5개 노선의 송전선로를 충남으로 모아 수도권으로 보내는 노선을 설계하다 보니 충남의 15개 시·군 중 태안과 당진을 제외한 13개 시·군은 사업대상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는 “충남에서 생산하지도, 소비하지도 않는 전기를 단지 호남에서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송전선로 건설이 추진되면서 충남은 애꿎게 피해를 입게 됐다. 언제까지 전력의 생산지역과 소비지역을 분리하고 장거리 송전을 통해 지역을 수도권의 전력 식민지로 삼을 것인가. 충남의 전력 식민지화를 거부하며 호남~수도권 송전선로 건설을 백지화하고 용인 국가반도체 산단을 전력 생산 지역으로 이전하도록 투쟁하겠다”라고 했다.
내포=이석호 기자 ilbolee@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