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대전시상수도사업본부가 내년 3분기 대전 제2취수탑과 도수터널을 동구 추동 인근에 건립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추동은 개발제한구역(GB)인 데다 상수원보호구역까지 이중 규제에 갇힌 지역이라 이에 따른 불편을 감수해온 주민들은 제2취수탑 등 건립의 전제조건으로 지역 활성화 방안 마련을 요구했고 시와 상수도본부는 주민 의견을 취합해 추동 동명초등학교에 물환경교육관 등을 건립, 주민의 생계를 지원한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교육당국인 대전시교육청과의 대승적인 협의가 남아 있는 상태다.
市, 내년 3분기 동구 추동에 건립 계획
GB 등 규제로 재산권행사 못한 주민들
동명초에 숙박 가능한 물환경교육관 요구
학생 안전문제 우려하는 교육청은 “불가”

◆ 제2취수탑 상생의 방향
제2취수탑과 도수터널은 기존 제1취수탑의 노후로 인한 안전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2023년부터 구상했다. 제1취수탑은 건립된 지 40여 년이 흘러 노후 문제는 물론 이에 따른 취수 위생 문제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나오는 상황이다. 특히 대청호는 대전 전역은 물론 세종과 충남 계룡까지 원수를 공급하고 있어 이 같은 우려는 심화할 수밖에 없다. 전국적으로 일부 자치단체의 먹는 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는 등 수돗물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만큼 안전하게, 중단없이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1취수탑을 대체할 제2취수탑을 건립해야 한다는 명분이 쌓이고 있다.
문제는 주민의 수용성이다. 그간 이 지역 주민들은 취수탑 운용에 따른 규제의 불편을 오롯이 떠안아 왔고 또다시 제2취수탑을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서 합리적 보상안이 자연스럽게 전제조건으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시와 상수도본부, 추동을 지역구로 한 이상래 대전시의원은 지역민의 의견을 수렴, 추동 동명초등학교에 숙박이 가능한 물환경교육관을 건립한다는 계획을 진지하게 고민 중이다. 교육관이 건립되면 인근 주민을 고용할 수 있고 교육관 한편에 로컬푸드 매장을 설치해 주민이 직접 농사한 농산품을 판매함으로써 소득을 올릴 수도 있다. 시 역시 이를 전액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학생 안전 담보가 관건
사업부지가 동명초로 결정된 상황에서 대전시교육청의 입장이 중요해졌는데 시교육청은 제2취수탑 건립의 당위성은 인정하면서도 학교 부지 내 교육관 등 학교복합시설 건립에 대해선 부정적이다. 학생 안전문제 때문이다. 학교복합시설이 들어서면 동명초 관계자가 아닌 외부인의 출입이 발생, 학습권 침해까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동명초는 재학생이 50여 명에 불과해 동명초 관계자 규모 역시 크지 않아 다른 학교에 비해 이 같은 피해가 더 클 수 있다는 걱정도 함께 내놓고 있다.
지난 10일 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4차 회의를 통해 진행된 시교육청에 대한 행정감사에서 이 의원은 “만일의 사태 발생 시 대청호 원수를 생활·공업용수로 사용하는 대전과 세종, 계룡에 큰 재난이 일어날 수 있다. 제2취수탑을 설치해야 하고 이를 위해 주민이 원하는 교육관을 건립해야 한다. 시와 의회, 시교육청 등은 물론 추동 주민과의 합심과 협력이 필수다”라고 강조했고 정인기 시교육청 행정국장은 “큰틀에선 물론 공감하지만 동명초에 숙박이 가능한 교육관을 설치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학교시설은 학생이 가장 우선이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 대승적 합의 필요
이 의원은 교육관 건립에 따른 안전문제 발생을 기우로 보고 있다. 이미 대전 서구 월평동 대전성천초는 인근 대전성룡초와의 통합이 예정돼 기존 성천초엔 복합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계룡 엄사초는 최근 복합시설 건립을 위한 행정안전부와 교육부의 공동투자심사도 통과하는 등 학교와 지역민이 함께 학교시설을 사용하는 건 시류다.
특히 동명초는 도시학교와 달리 대청호를 활용한 교과과정이 있어 인근 판암동 등에서 일부러 동명초로 진학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학생의 창의적 활동을 지원하기에 동명초의 지속 가능이 필요하다는 건데 교육관 건립이 불발되면 장기적으로 재학생 규모가 축소, 폐교까지 고려해야 한다.
결국 교육관 건립으로 동명초의 지속 가능을 담보하고 장기적으로 제2취수탑과 도수터널 건립을 위한 교육관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 시-상수도본부-교육당국의 대승적 협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으로 귀결된다.
이 의원은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의 의견이 중요하고 이에 못지않게 지역민의 의중도 들어야 한다. 충분히 이해당사자 간 대화와 소통으로 최적의 방법을 도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종익 상수도본부장 역시 “마을농로포장, 상수도요금 감면 등 실현 가능하고 추동 주민이 가장 원하는 방안을 논의해 긍정적으로 적극 검토하고 있다. 법과 예산이 가능한 범위에서 사업우선순위, 타 지역과의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철저한 계획과 구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