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음모”에 이언주 “충분한 논의” 반발…중앙위 연기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추진하는 ‘대의원·권리당원 1인1표제’ 도입을 놓고 당내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서 ‘1인1표제’를 놓고 정 대표가 내년 전당대회에서 연임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확산되면서다. 당 지도부는 “음모론”이라고 강조하지만, 당내 공개적 반발로 이어지고 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24일 최고위원회의 공개 발언에서 “1인1표제에 대한 찬반 문제라기보다는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 취약 지역에 대한 전략적 문제가 과소대표되고 있는 점 등이 논란의 핵심”이라며 “민주당이 수십년간 운영해온 중요한 제도를 충분한 숙의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식으로 폐지하는 게 맞느냐”라고 비난했다. 이 최고위원은 이후 회의 도중 그대로 퇴장했다.
지난 21일 최고위와 당무위를 거쳐 의결된 ‘1인1표제’는 당초 오는 28일 중앙위원회에서 개정안을 처리하기로 했지만, 졸속 추진이라는 당내 비판이 나오자 중앙위 회의를 내달 5일로 연기하기로 했다. 당헌·당규 개정안은 최고위와 당무위, 중앙위 의결을 차례로 거쳐 최종 확정된다.
조승래 당 사무총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앙위 회의를 연기하기로 했다면서 “공개든 비공개든 다른 의견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서면이나 현장에서 의견을 내신 분도 있었다. 그런 것을 다 수용해서 좀 더 논의 시간을 갖자는 것을 정청래 대표가 수용했다”고 전했다.
앞서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1인 1표제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아무것도 없이 무조건 ‘1인 1표만 졸속으로 처리한다’는 식의 말씀들을 하니 오해가 더 생기는 것 같다”면서 “그러니 심지어는 ‘정청래 재선용 개정’이라는 등의 음모론이 등장하고, 당을 위한 진심의 제안들임에도 생산적 결론이 아니라 오히려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고 우려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개정안 졸속 비판에 대해 “그 많은 시간을 놔두고, 이미 공개된 의결 절차에 돌입한 뒤 (최종 의결) 턱밑에서야 의결 절차를 보류하자는 주장은 본질을 왜곡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강성대 기자 kstar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