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 금강 7공구

4대강 사업이 추진중인 금강 7공구 사업 현장에서 특수 폐기물이 매립·방치된 현장이적발됏다. 금강 폐기물 현장(사진 왼쪽)과 SK측이 폐기물 저장소가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사진 속의 가건물이 폐기물 저장소로 추정되는 현장4대강 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금강 7공구 사업 현장에서 특수폐기물이 매립·방치돼 있는 현장이 적발되고 대전시가 4대강 홍보 정책자문단을 구성하는 등 4대강 사업 현장이 요동치고 있다.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은 12일 금강 4대강 사업 7공구 구간에서 폐유찌꺼기, 폐콘크리트 등 특수폐기물과 준설토가 섞여 방치, 매립 되는 등 불법행위가 자행되고 있다며 국토해양부와 사업시행사인 SK건설이 법에 따른 책임을 지고 4대강 공사가 즉시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금강 7공구 사업구간은 충남 공주시 검산동 일대로 폐유저장소가 있었던 곳이다. 폐유저장소는 오염토양의 정화기준 및 정화방법에 따라 처리해야 하는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 시설물에 속한다. 하지만 SK 건설측은 폐유저장소가 없는 곳이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흥모 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 상황실장은 "SK건설이 절차를 무시하고 임의 처리해 이미 주변 지역은 악취가 심하고 비가 올 경우에는 수질오염도 우려된다"며 "금강유역청과 국토관리청에 항의한 상태며 시행사의 불법여부도 구체적으로 판단해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대전시가 4대강 홍보사업정책자문단을 구성, 논란에 불을 지폈다.대전시는 지난 10일 60여 명의 지역 인사들을 위촉, '금강 및 3대 하천 살리기 자문단'을 구성하는 1차 회의를 진행해 유병로 대전발전연구원장을 위원장으로 선출하고 위원들의 역할 교육 등을 진행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구성만 해 놓은 상태로 활동은 선거 기간 동안 일체 하지 않는다"며 "후에는 수질?토양오염 등의 정책자문을 비롯해 강연, 강의 등의 활동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4대강 자문단에 대한 반발은 즉각적으로 표출됐다. 금강운하백지화운동, 2010대전유권자희망연대 등은 이날 대전시청 앞에서 '금강 및 3대 하천 살리기 자문단' 해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단체 관계자는 "4대강 홍보정책자문단은 선거법 저촉 논란으로 다수의 지자체가 선거 뒤로 연기하는 분위기인데도 대전시가 강행한 것은 시민사회의 의견을 무시한 것"이라며 "4대강 정책 자문단의 위법성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고 있는 선관위의 태도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대전시의 4대강 관권선거 획책 규탄기자회견이 12일 대전시청 앞에서 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과시민환경단체가 금강 및 3대 하천살리기 자문단 해체를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