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 대전지부와 충남지부는 12일 각 지역 학교 대표자들이 참여한 ‘반부패-참교육 실천’ 선언문을 발표, 전교조 탄압 중단을 촉구했다. 두 단체는 선언문에서 “자유롭고 창의적이며 평등하고 건강하게 성장해야 할 아이들이 극심한 경쟁교육, 차별교육, 특권교육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며 “또 늘어나는 사교육비로 인해 학부모들이 고통에 신음하는 등 우리 교육은 학생에게도, 학부모에게도, 교사에게도 ‘기쁨’과 ‘희망’이 아닌 ‘고통’과 ‘절망’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세계 교육개혁은 ‘협력과 소통을 통한 창의성 교육’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정부는 이 같은 세계 흐름과 거꾸로 가고 있다”며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경쟁에서 협력으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절망 속에 새로운 희망을 일구기 위해서는 교육 주체의 참여와 소통이 필수적이라며 교육주체의 소통과 협력으로 새로운 학교를 만들어가려는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들은 또 “전교조는 시대적 요구를 실현하기 위해 학교를 ‘경쟁과 차별과 특권의 정글'에서 ‘서로 협력하고 존중하며 소통하는 삶의 배움터’로 바꾸는 일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우리는 교육을 절망 속으로 몰아넣고 있는 정부에 전교조 탄압을 중단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피력했다. 두 단체는 선언문과 함께 ▲촌지와 청탁, 불법 찬조금 등 교육 비리와 부패 척결 노력 ▲교사·학생·학부모가 협력하고 소통하는 학교 문화 조성 ▲‘협력 학습 문화’ 형성 및 따돌림과 폭력이 없는 공동체 문화 조성 앞장 등을 실천해 나가기로 결의했다. 또 ▲조합 규약 시정명령, 단체협약 해지 등 전교조 탄압 즉각 중단 ▲교육 비리의 근원인 승진제도 개선 및 교육 주체 참여를 보장하는 학교운영 개혁 방안 제시 ▲사교육비 늘리는 특권교육 정책 폐기 및 협력과 소통의 공교육 혁신 방안 제시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