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예보때 오염 우려지역 감시 손 놔 ··· 본업에 쫒겨 예찰활동 전무

태안화력 환경감시단원 대부분이 바쁜 일상생활에 쫓기는 공무원과 직장인, 농업인들로 구성돼 상시 감시기능은 가동되지 않고 있어 개선 여론이 높다.특히 태풍 등 재난예보가 발표되었지만 환경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감시단의 예찰활동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나 대책 마련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태안군 부군수를 단장으로 구성된 태안화력 환경감시단은 대부분 바쁜 일상생활에 쫓기는 공무원과 직장인, 농업인들로 구성돼 평상시 감시기능은 가동되지 않고 있다.게다가 태풍경보 등 재난예보가 발표된 경우에도 환경오염우려지역에 대한 환경감시단의 예찰활동은 없었다.실제로 지난 2일 태풍 곤파스의 영향으로 집중호우가 내려 태안화력 회처리장 오폐수가 범람, 인근 농업용수를 오염시켰지만 환경감시단의 현장 감시활동은 없었다.주민 A 씨는 “환경감시단원으로 2년간 활동하였지만 직장일에 쫓기다 보니 상시 환경감시활동은 전혀 할 수 없었다”며 “ 2개월에 1회씩 태안화력에서 열리는 정례회의에 참석, 관계자의 현장설명을 듣는 게 감시활동의 전부였다”고 밝혔다.그는 이어 “태안화력에 대한 상시 환경감시를 위해 상근감시요원을 배치해야 한다”며 “상근요원을 배치할 수 있도록 환경협약서를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군 관계자는 “태안군과 태안화력이 체결한 환경협약서에는 2개월에 1회씩 정례회의를 갖고 현장 확인 감시활동을 하도록 돼 있다”며 “상근요원을 배치하는 등 실질적인 환경감시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대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태안군 부군수를 단장으로 하는 태안화력 환경감시단은 읍·면장추천 민간인 8명(원북면 4, 이원면 3, 소원면 1), 당연직 7명(부군수 1, 원북면, 이원면 군의회 의원 2, 환경보호과장 1, 해양수산과장 1, 푸른태안21위원 1, 지역신문기자 1) 등 총 15명이며 임기는 2년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