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에도 市 "적자우려" 설립 꺼려

결핵성 늑막염이 의심되는 A(34)씨. 확진이 안 나왔고 격리실이 없다는 이유로 병원에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전염성이 있는데 확진이 나올 동안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할 뿐이다. 타 시?도 처럼 대전에 시립종합병원이 있었다면 어떻게 됐을까.일반 시민 및 취약계층을 위한 시립종합병원 설립이 도마 위에 올랐다. 광역 단위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립종합병원이 없는 곳은 대전, 울산, 광주뿐이다. 특히 대전은 가오지구에 약 7000여 평의 의료용지를 확보했음에도 이후 동구청 청사 이전 부지로 용도변경 하는 등 적극적인 설립 의지를 보이지 않았고 대체 계획도 없는 상태다. 시립종합병원은 선택 진료비를 안 받거나 최소화하며 불필요한 검사를 실시하지 않아 일반 종합병원에 비해 진료비가 저렴하고 전염병 격리 병동, 야간 및 휴일 외래 진료실, 장애인 치과 진료실 등의 시설을 갖추어 운영하는 등 공익적 목적으로 필요한 의료시설이다. 시립종합병원 부재로 어려움을 겪는 것은 시민들.휴일 및 심야에 진료를 받기가 불편해 응급실로 직행, 울며 겨자 먹기로 비싼 진료비를 치러야 한다. 지난 3월 일요일 산을 오르다 팔을 다쳤던 김 모(60?여)씨는 문을 연 병원이 없어 참아보려고 했지만 계속 부어오르고 통증이 심해 인근 대학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김 씨는 “너무 아파서 어쩔 수 없이 응급실을 갔는데 치료를 받고 나니 14만 원 정도가 청구돼서 정말 놀랐다”고 말했다. 전염성이 있는 결핵환자들도 격리 병실이 부족해 입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마산, 목포까지 가야만 하는 실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재는 부지도 없고 이미 시립정신병원, 시립노인병원 등이 있어 대체할 수 있다”며 “여건이 조성되면 다시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전시립병원설립운동본부 조부활 사무국장은 “중앙정부가 지방의료원 설립 비용 중 건축비 및 의료기기 등을 일부 지원해줌에도 대전시는 시립병원은 적자만 나는 곳이라고 인식, 설립 의지가 없다”며 “지하철 건설, 나무심기 등의 사업비 일부만 덜어내도 턱없이 부족한 공공의료서비스를 시립종합병원 건설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