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전국동시지방선거와 함께 실시되는 대전·충남교육감 선거는 절대강자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속에서 후보들이 차별화 한 교육철학과 정책으로 표심을 잡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지난 선거와는 달리 대전과 충남도교육감 후보자가 각각 3명으로 압축되면서 행방을 가늠할 수 없는 치열한 경합이 예상되고 있다.특히 이번 선거는 전국동시지방선거로 함께 치러지는 양상으로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당락이 좌우될 수 있기 때문에 판세를 누구도 섣불리 전망할 수 없는 상황이다.대전시교육감 선거에는 김신호 대전시교육감이 오는 10일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출마를 공식선언할 예정이고, 이미 예비후보 등록을 마친 오원균 예비후보와 한숭동 예비후보가 출마해 ‘3파전’이 점쳐진다.지역 교육계에서는 이번 선거를 좌우할 핵심 요소로 교육정책 현안에 대한 정책 대결을 우선으로 꼽는다.학력 향상 부분과 사교육비 절감, 지역별 교육격차 해소, 무상급식, 자립형 사립고·영재고 유치 등 교육 현안에 대한 정책 대결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충남도교육감 선거에서는 김종성 현 충남도교육감이 출사표를 던졌고, 강복환 전 충남도교육감과 권혁운 순천향대 초빙교수 등이 지난해에 이어 출마하면서 결과를 섣불리 예측할 수 없는 치열한 접전이 펼쳐질 것으로 예측된다.또 교육계 일각에서는 도덕성과 자질론 시비가 후보들의 교육청 입성 여부를 가르는 변수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시각도 적잖다. ‘투표용지 게재 번호’의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오는 14일 후보등록 마감 뒤 추첨을 통해 결정하는 투표용지 게재순서가 당락의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이번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역대 최대인 1인 8표제로 정확한 평가나 공약의 내용 등이 검증되지 못한 채 정치적 상황 전개에 따라 당락이 결정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정치 선거와는 달리 교육감 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부재와 함께 8명의 후보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특정 정당을 연상케 하는 기호를 배정받은 후보에게 기표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권순재 기자 pres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