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원도심 개발의 돌파구로 기대됐던 뉴타운이 깊은 잠에 빠졌다.최근 촉진계획이 확정된 신탄진지구(41만 2000㎡)를 포함해 대전에는 대전역세권(88만 7000㎡), 신흥(63만 5000㎡), 선화용두(649000㎡), 도마변동(221만 3000㎡), 유성시장(33만 8000㎡), 상서평촌(268만 ㎡) 등 총 7개 지구가 도시재정비촉진지구로 결정·고시됐다.계획대로라면 지난해부터 개별구역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됐어야 하지만, 현재 수십 개 구역 중 착공은 고사하고 재정비조합 구성 움직임조차 찾아보기 어렵다.특히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총괄사업관리자로 지정돼 빠른 사업진행이 기대됐던 대전 역세권지구마저 사실상 자포자기 상태다.촉진지구로 지정된 뒤 2년여 만인 지난해 5월 계획을 확정한 역세권지구(동구 삼성, 소제, 신안, 정동 일원)는 11개 지구 중 단 두 개 지구에서만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활동 중이다. 추진위 구성이 법적 사항은 아니지만 대부분 조합 구성 전 활동하는 것을 감안하면 이곳의 사업 진행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다.지난해 8월 결정·고시된 도마·변동지구(221만 3500㎡)는 7개 지구 중 두 번째로 면적이 넓은데다 사업성이 있다는 소문에 지구 지정 전인 2006년부터 뜨거웠던 곳이지만 이 역시 17개 촉진구역(재개발 3곳, 재건축 14곳) 중 단 한 곳에서도 구체적인 사업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다.유일하게 조합이 구성된 11구역도 몇 차례 시행사 모집 공고를 냈지만, 어느 곳에서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나머지 상서·평촌, 선화·용두, 유성시장, 신흥, 신탄진지구 등도 사정은 비슷하다.과열 조짐 때문에 2006년 말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묶은 촉진지구가 이처럼 차갑게 식은 데는 전국적으로 불어 닥친 건설경기 침체 때문이다.일부 전문가와 주민들은 막대한 기반시설 설치비용 부담과 사업성이 떨어지는 촉진계획도 사업 진행을 가로막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고 있다.사정이 이런데도 지난 7일 신탄진지구 촉진계획이 결정·고시 된데 이어 올해 안에 도룡과 오정지구도 촉진계획이 확정될 예정이다.각종 규제 때문에 촉진지구로 지정된 주민들조차 해제를 요구하는 마당에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실적위주의 행정이라는 비판도 점차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