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 고효율기기 보급·확대

최대 100만㎾ 전력수요 감축 효과 기대

최근 확정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주목할 만한 에너지정책의 변화 중 하나는 ‘ICT를 활용한 전력수요관리 시장 창출’이다. 인터넷·스마트폰 등 ICT(정보통신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전기절약을 시스템화 하면서 전력수요관리 분야에서도 시장을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이로 인해 2017년까지 3조 5000억 원의 시장이 형성되고 최대 100만㎾의 전력수요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ESS 시장 열린다
정부는 우선 에너지저장시스템(ESS·Energy Storage System) 보급을 확대한다.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전력수급을 맞추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수요 측면에서 계약전력 30만㎾ 이상인 대규모 전력사용 사업장 30여 곳을 대상으로 ESS(계약전력의 5% 이상)를 설치하도록 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계약전력 1000㎾ 이상 공공기관 1800여 곳에 100㎾ 이상급 ESS를 설치하도록 사실상 의무화했다. ESS를 설치하면 계약전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기본요금을 줄일 수 있고 밤에 싼 값에 전기를 저장한 뒤 전기요금이 가장 비싼 시간에 이 전기를 쓰면 그만큼 요금 부담도 줄일 수 있다. ESS에 저장된 전기를 사고 팔 수 있는 시장도 열어 ESS 수요를 지속적으로 견인할 계획이다. 전력공급 측면에서도 신재생에너지사업자가 ESS를 이용해 전기를 공급할 경우 전력시장에서 거래되는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가중치를 최대 2배까지 인정해 ESS 전기가 전력피크시간대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화력발전소도 ESS 설치로 출력을 100% 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스마트 플러그 활용 예시 (기기 간 서비스)
◆인센티브로 EMS 시장도 확대
정부는 에너지 사용 흐름을 모니터링해 일정 규모 이상이 되면 전기사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Energy Management System) 보급도 확대한다. 연면적 1만㎡ 이상 신축건물과 백화점 등 연간 에너지소비 2000TOE(석유환산톤) 이상인 기존 에너지 다소비건물에 EMS 설치를 유도하고 인센티브도 확대하기로 했다. EMS 투자비용을 세액 공제 대상에 포함시켜 자금조달을 지원하고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선 EMS 구축비용을 최대 50%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마찬가지로 이렇게 해서 절감된 전기가 전력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는 제도도 도입할 예정이다. 이렇게 하면 에너지기업이 아니더라도 EMS 관련 기술을 갖춘 기업이 전력시장에 참여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활용 예시 (중앙 플러그 서비스)

◆고효율 기기 확대 보급
정부는 이밖에 지하철·철도역사·터널·공항 등의 조명(136만 개)을 LED 조명으로 교체하고 민간 부문에선 지하주차장 등 장시간 사용 조명을 LED로 교체하도록 의무화할 방침이다. 또 가전제품에 대한 똑똑한 소비를 담보할 수 있도록 스마트 플러그 보급도 확대한다. 스마트 플러그는 무선인터넷 환경에서 가전제품 전원을 자동·수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제어장치로 정부는 에어컨 등 전력소비가 많은 가전기기를 중심으로 스마트 플러그가 내장된 제품만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을 부여할 예정이다. 정부는 한전도 전력효율향상 투자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했다. 한전은 매출액 대비 전력효율향상 투자 비율을 올해 0.12%에서 2배로 늘려 5년 간 모두 54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심야전기보일러를 축열식 심야히트펌프 보일러로 교체하고 아파트 엘리베이터가 내려갈 때 운동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해 사용하는 회생제동장치도 보급해 나가게 된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