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한남대 총장

경국지색(傾國之色)이란 말이 있듯이 항상 정치나 경제계의 상층부 지도자들에겐 함정의 하나가 여자 문제였다. 중국역사에도 숱한 재녀와 미녀들이 있었다. 그중 4대 미녀로 서시, 초선, 왕소군과 양귀비가 꼽힌다. 이들이 당대 수많은 남자들의 가슴을 떨리게 했고 나라를 기울게도 했다.
①서시(西施)는 춘추전국시대의 미인이다. 오(吳)나라에 망한 월왕 구천의 충신 범려가 서시를 호색가인 오왕 부차에게 바치니 부차는 서시의 미모에 빠져 정치를 등한시하고 그녀를 위한 대규모 공사를 벌이다가 국력이 쇠잔해 망했다고 한다.
그는 범려의 정혼녀 또는 첩이란 설도 있어 범려가 오나라에 복수하기 위해 미인계를 쓴 것으로 전한다. 서시가 바로 침어(浸魚):물고기도 그녀의 미모를 보고 물속에 가라앉았다고 하는 주인공이다. ②왕소군(王昭君)은 기원전 1세기 때 인물로 흉노인 선우의 아내로 원래는 한나라 원제의 궁녀였다. 흉노와의 친선을 위해 후궁 중 한명을 뽑아 흉노의 왕선우에게 보내진 것으로 전해진다.
한서에는 그가 흉노의 풍습을 거부하다 자살했다고 전하지만 실제는 흉노 땅에서 오래도록 살면서 한족문화를 흉노에 전파하는 등 많은 기여를 했다고 한다. 왕소군의 별명은 낙안(落雁)으로 날아가던 기러기도 그의 미모를 보고 땅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③초선(貂蟬)은 정사 ‘삼국지’에는 나오지 않는 가공인물로 알려져 있다. 4대 미인 중 유일한 허구적 인물이다.
‘삼국지연의’에서 왕윤의 시비인 10대 소녀로 등장하며 왕윤에게 부탁을 받아 동탁과 여포사이를 이간질하는 계략에 동원된다. 여포로 하여금 동탁을 처치하게 만든 미녀연환계로도 유명하다. 이 부분은 삼국지에서 가장 흥미진진한 부분 중의 하나로 초선의 이야기가 나오게 된 배경은 정사 ‘삼국지’ 여포 전에 실려 있는 한 줄의 글귀 때문이다.
“여포는 동탁의 시비와 사사로이 통정하며 이 일이 발각될까 두려워해 마음속으로 불안해했다” 이 한 줄의 글이 간신들을 죽이기 위해 자기 몸을 바치는 희대의 미녀를 만들어 낸 것이다. 초선의 별명은 폐월(閉月) 즉 그녀의 아름다움에 달도 부끄러워 숨었다는 뜻이다. ④양귀비(楊貴妃)는 당나라 현종의 비(妃)로 어릴 때의 이름은 옥환이다.
스촨성에서 태어나 17세 때 현종의 18대 왕자인 수왕의 비가 됐다. 그러나 현종이 총애하던 비가 죽자 황제의 뜻에 맞는 여인이 없어 물색하던 중 그녀의 아름다움을 고한 자가 있어 결국 며느리였던 그가 시아버지 현종의 귀비로 간택됐던 것이다. 다년간 치세로 정치에 싫증을 느끼고 있던 현종의 마음을 사로잡아 왕후나 다름없는 대접을 받았고 양국충 등 친척들이 고관으로 발탁되거나 황족과 통혼을 하게 됐다.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키자 황제는 귀비 등과 스촨으로 도주하던 중 장안 서쪽 지방인 마외역에서 양씨 일족에 불만이 폭발한 군사들이 양국충을 죽이고 양귀비에게도 죽음을 강요해 결국 불당에 몸을 매어 죽었다고 한다. 그는 가무에 뛰어났고 군주의 마음을 사로잡는 총명함도 겸비했다고 한다.
동시대의 시인 이백(李白)은 그녀를 활짝 핀 모란에 비유했고 백거이는 양귀비와 현종의 영원한 애정을 ‘장한가’에 적어서 그녀를 중국역사상 가장 로맨틱한 여주인공으로 자리매김 시켰다. 그녀의 별명은 수화(羞花) 즉 꽃들이 부끄러워 고개를 숙일 정도로 아름다웠다고 한다.
통치자들과 미인들의 에피소드는 동서고금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도 있었고 앞으로도 있을 것이다. 남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 중 돈과 여인과 명예가 삼대 요소로 꼽히기 때문이다. 클레오파트라와 양귀비는 동·서양의 대표적인 미인열전이 될 것이다. 또 미인박명(美人薄命)이란 말처럼 아름다운 미모는 출세의 이유도 되지만 몰락의 원인도 된다. 지도자 반열에 있는 사람들이 지금도 조심할 요소며 절세미인들도 현숙함을 함께 갖춰 피차에 시험에 들지 않아야 될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