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제외 민간업체만 집계

정부가 매월 발표하는 미분양 통계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미분양 물량은 빠져 민간건설업체만의 ‘반쪽 통계’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분양 통계가 분양시장 상황을 판단하는 척도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민간건설업체의 미분양 물량만 집계돼 통계착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현재 국토해양부가 매월 발표하는 '전국 미분양 주택현황' 통계는 민간부문 분양시장의 흐름을 보기 위한 것으로, LH 등 공공부문은 빠진 채 민간건설업체 미분양 물량만 수록돼 있다.국토부가 매월 발표하는 미분양 현황은 민간과 공공, 준공 후 미분양 3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져 있고 이중 공공부문은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건설하는 주택, 민간부문은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지 않고 순수 민간자본으로 건설하는 주택을 각각 의미한다.그러나 미분양 통계에서 ‘공공부문’은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건설하는 민간주택을 뜻하는 것으로 LH의 미분양은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부동산써브의 주장이다.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은 “최근 분양시장 위축과 미분양 적체 현상의 주축은 민간부문이지만 정부가 작위적으로 공공부문 사업주체의 미분양을 누락하는 것은 통계착시를 불러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한편 LH가 발표한 ‘4월 말 현재 LH 전국 분양아파트 선착순 분양지구 현황’을 보면 LH 미분양은 8272가구에 달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