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후보자들에게 선거 분위기와 지지도 견인 장치로 기대를 모았던 방송토론회가 난데 없이 무용론에 휘말리고 있다. 유권자들은 교육감 후보들의 출마 변이나 정책 소견을 나누는 질의 및 답변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 후보자의 소견을 충분히 전달받지 못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후보자가 짧은 시간 내 질의, 답변하는 과정에서 본연의 생각과 다른 발언도 할 수 있어 유권자들이 교육정책 또는 자질에 대한 혼동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낳고 있다. 지난 18일 한 방송 토론회에서 모 교육감 후보는 임금총액제를 교사연봉제로 발언, 시청자를 혼란에 빠뜨렸다. 이 후보는 실수한 부분을 다시 설명하려 했지만 질의시간이 부족, 또 다시 교사연봉제로 다른 후보에 질문했다. 토론회에 참여하고 있는 교육감 후보들은 짧은 질의, 답변시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책을 설명하고 상대방의 질문 답변에 소용되는 시간이 불과 1분에서 1분 30초만 허용, 후보 자신이 갖고 있는 소신을 제대로 알릴 수 없다는 것이다. 질문시간도 15초, 30초 등 짧은 시간만 배정돼 자칫 질문의 핵심을 놓치고 변죽만 올릴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지자체장 선거 등 동시선거로 이뤄지다 보니 방송사들도 각각의 선거 방송에 쫓기면서 충분한 토론시간을 편성하지 못하는 것도 방송 토론회의 무용론에 한몫하고 있다. 2004년 전까지 실시된 후보자 합동연설회의 부정을 막고 시대 흐름에 따라 미디어 선거를 표방한 후보자 방송 토론회 의미가 퇴색돼 가고 있는 대목이다. 대전시교육감 A 후보측은 “통상 토론회에 참석하면 30초 질문, 1분30초 답변 등으로 진행된다”며 “시간이 지나면 마이크가 꺼져 유권자에게 후보자의 의견을 정확하게 이해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짧은 시간에 질문, 답변을 압축해 전달하는 동시에 카메라를 의식, 긴장감이 커져 잘못된 정책과 단어들이 돌발적으로 나와 유권자에게 혼동을 가져다 줄 여지가 많다”고 귀띔했다. B 후보측은 “후보자의 진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질문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 제대로 된 해명을 듣기 어렵고, 공약으로 내세운 교육정책을 유권자에게 충분히 알릴 만한 시간도 부족하다”고 맞장구쳤다.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방송 토론회에 대한 시간 규정은 명확하게 규정된 바가 없다. 방송사별로 진행방식을 구성, 토론회를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동시선거가 펼쳐지면서 방송사마다 시장, 구청장 등 토론회를 준비, 토론시간을 제한적으로 운영할 수밖에 없다”며 “짧은 질문, 답변 시간에 따른 토론회의 문제성은 인정하고 있지만 뚜렷한 대안이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