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서구 변동에서 남편과 함께 작은 가게를 운영하는 박 모 씨는 최근 생업에서 잠시 손을 떼고 선거운동원으로 변신했다.일당 7만 원을 받는 조건으로 모 기초의원 후보 캠프에 합류한 박 씨는 “경기가 죽어 장사도 잘 되지 않는데 하루 7만 원이란 수입은 적은 돈이 아니다. 남편에게 가게 운영을 맡기고 거리 유세에 참여하고 있다”며 “선거운동기간이 13일밖에 되지 않아 아쉬울 뿐”이라고 말했다.6·2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지난 20일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한 가운데 박 씨처럼 선거판에 뛰어든 자영업자들이 상당수에 이른다. 대부분 아줌마들로 구성된 선거운동원들 중에는 일용직 근로자와 각종 친목회 임원, 전업주부들도 포함돼 있다.공직선거법상 수당과 실비를 지급받는 유급 선거사무원은 광역의원의 경우 10명 이내, 기초의원은 8명 이내로 제한되고, 나머지 필요 인원은 자원봉사자로 충원해야 하지만 이 같은 규정을 어기고 돈으로 유능한 운동원을 다수 확보해 유세에 나서는 후보들이 허다하다.내달 2일 치러지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유권자 1인이 8표를 찍는 단군 이래 최대의 선거인만큼 정당 간 치열한 각축전이 펼쳐지며 각 후보들은 유권자들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활동적인 운동원 모집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그러나 이번 선거에선 광역·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교육감·교육의원 등 후보들이 워낙 많아 운동원 수요가 공급을 크게 초과, 군소정당이나 무소속 후보 등은 유세전 수 싸움에서 밀리고 있다.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은 농촌에선 공공근로사업에 이어 지방선거가 인력을 대거 흡수해 일손 부족 현상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가뜩이나 지난 4월 이상 저온으로 냉해 피해를 입고, 자재값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온 농가에선 인건비 상승과 인력난에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충남 부여에서 과수농사를 짓는 강 모(62) 씨는 “선거판에서 일당 7∼8만 원을 받고 일하는 것이 훨씬 편한데 누가 어려운 농삿일을 돕겠는가. 한적한 농촌 마을까지 선거에 휘둘리면서 인력이 크게 부족해 영농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고충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