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중형위성 1호기 가상도. 한국항공우주산업 제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는 차세대 중형위성 1호기 공동개발에 착수했다고 7일 밝혔다. 차세대 중형위성 1호기는 500㎏급 정밀지상관측용(흑백 0.5m급, 컬러 2m급) 위성으로 2019년 말까지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KAI는 1호기 개발과정에서 500㎏급 표준 위성 플랫폼을 확보하고 양산 산업화함으로써 추가 개발 시 경제성을 높여 수출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항우연으로부터 이전받은 위성개발 기술력을 기반으로 2호기부터는 설계·제작 등 위성 개발 전 과정을 모두 주관할 예정이다.

차세대 중형위성은 지상 관측위성, 감시위성, 기상·환경위성, 우주과학위성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된다.
KAI 관계자는 “광학, 레이더, 적외선 등 다양한 탑재체를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표준 위성 플랫폼을 활용해 위성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개발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며 “차세대 중형위성은 우주산업을 수출산업화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차세대 중형위성 사업은 정부 주요 국정과제인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의 핵심으로 2025년까지 총 12기의 위성을 개발·발사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유주경 기자 willowind@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